당뇨병 환자 교육의 활성화와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대한당뇨병학회는 지난 11일 한국사회복지회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은 내용에 대해 밝혔다.

학회에 따르면 현재 임상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당뇨병 교육이 한계점이 있다는 지적이다. 당뇨병 치료제 처방규모(2013년 6,203억->2022년 14,597억)는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혈당관리 실태(2013년~2016년 HbA1c>7% 비율 47%, HbA1c ≤ 7% 비율 53% -> 2019년~2020년 HbA1c>7% 비율 44%, HbA1c ≤ 7% 비율 56%)는 10년 전과 비교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

이에 문준성 총무이사는 “임상현장에서 당뇨병 교육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며 ”최근에 좋은 기기들이 많이 개발돼 좋은 기술이 개발돼 있음에도 우리나라 당뇨병 교육을 받은 비율이 20%대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실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대상으로 한 당뇨병 환자들의 당뇨병 교육 상태에 임상적 결과의 연관성을 분석해본 결과, 당뇨병 교육을 받은 비율은 20.3%였다. 이 중 병의원에서 교육 받은 비율은 15%였고, 보건소 등 나머지가 5% 정도로 나타났다.

현재 당뇨병 교육을 포함한 ‘교육상담료’는 비급여 항목으로, 의사, 간호사, 영양사로 구성된 교육자를 통한 교육에 대해 1회 비용을 산정해 지급하고 있다.

교육자 자격은 관련분야에 대해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 인력으로, 요양기관별로 교육자 중 상근하는 교육전담자(교육관련 업무 외에 환자관리 등의 업무를 하지 않는 자)를 두어야 한다. 교육 내용은 환자가 자신의 질병을 이해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수립한 경우에 산정되며, 교육프로그램 전과정을 포함한 비용을 1회 산정, 이 비용에는 교육프로그램 일부내용의 반복교육 및 추후관리가 포함된다.

문 이사는 “다른 질환은 교육상담료 중 급여화된 영역이 있지만, 당뇨병 교육상담료는 여전히 비급여 영역”이라며 “학회에서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당뇨병 환자가 너무 많아지기도 했고, 재정적 부담 등의 사정으로 바뀌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에 학회는 당뇨병 관리 기술이 고도화되는 가운데, 비약물치료 관리 활성화를 위해 “공급자 중심에서 수진자 중심으로 개별화와 고도화를 통한 세밀한 보상체계가 필요하다”며 “대면 교육인 당뇨 교실, 혈당수첩, 인슐린 주사법에 대한 당뇨병 교육을 당뇨병 비약물치료인 디지털 치료제, 라이프로그+연속혈당데이터, 인슐린 펌프/CGM, App 연동 및 사용법 교육’으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당뇨병학회는 현재 수준 높은 ‘당뇨병 교육자’ 양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1999년 당뇨병 교육자 자격인정 제도를 시작해 현재 총1,457명이 당뇨병 교육자가 자격인정증을 취득했다.

또한 표준화된 교육자료를 개발 및 제공하고 있으며, 당뇨병 교육 인증병원과 현판식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학회 임원진은 “표준화된 높은 수준의 교육과 교육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0년부터 회원을 대상으로 무료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당뇨병 교육 인증병원 및 현판식도 진행하고 있다. 현재 기준 당뇨병 교육 인증병원으로 지정된 기관은 총 88개이며, 이 중 60개 병원에서 올해 현판식을 진행 중에 있다.

한편 대한당뇨병학학회 학술대회 ‘2023 International Congress of Diabetes and Metabolism’이 오는 19월 19일부터 21일까지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이번 학술대회는 800여 명(국내 600여명, 국외 150여명)이 등록한 가운데, 24개국에서 참여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