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다양하고 새로운 치료법들이 도입되면서 췌장암 치료에 탄력이 더해지고 있다. 기존 약물을 활용한 치료법과 함께 다학제 진료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면서 활기를 찾고 있는 것.

다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치료 방법들이 표준화 되지는 않았다. 더욱이 병의 진행 상황이나 환자의 전신 상태 등 여러가지 요인들에 따라 치료 방법은 달라질 수 밖에 없을 터.

그렇다면 각각의 상황에 맞는 가장 적합한 치료법은 무엇일까.

본지는 췌장암에 대한 연구들을 활발하게 진행 중인 종양내과 전문의 3인을 만나 '췌장암 병기별 효율적인 치료 전략'에 대한 견해를 들었다.

< 참석자 >

분당차병원 종양내과 전홍재 교수(이하 전)
울산대병원 종양내과 천재경 교수(이하 천)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유창훈 교수(이하 유)
의료정보 김태완 기자(이하 김)

김: 최근 몇년 사이에 췌장암에 대한 다양한 치료 전략들이 발표되면서 치료 성적도 향상되고 있다. 하지만 병원이나 의료진마다 선호하는 치료 전략에는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진료 현장에서 췌장암 환자들을 치료하고 있는 교수님들이 생각하는 최선의 치료 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겠다.

① 절제 가능성 췌장암
② 국소 진행성 췌장암
③ 전이성 췌장암
④ 향후 췌장암 치료 패러다임은?
⑤ 환자가 알고 싶은 췌장암 정보

김: 과거에 비해 췌장암의 치료 옵션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다. 이로 인해 실제로 느끼는 치료 성적의 변화는 어느정도 인지 궁금하다.

전: 무엇보다 장기 생존 환자들이 늘고 있다는 점이 가장 고무적이다. 췌장암도 약제들이 다양해지면서 후속치료들이 가능해지고, 약제에 반응하는 환자들의 생존 기간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돌아보면 젬시타빈 단독치료에 의지했던 과거에는 환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의사로서 무기력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췌장암과 싸울 수 있는 다양한 무기들이 생긴 지금은 조금 더 당당하게 환자들과 함께 맞서 싸울 수 있게 된 것 같아 기쁘게 생각한다.  

천: 전공의 시절엔 췌장암은 항암치료를 하더라도 1년을 넘기기 힘든 질환이었다. 지금은 약제도 2~3가지로 늘어나면서 치료 성적의 변화를 많이 느끼고 있다. 환자들의 생존 기간이 길어지면서 환자 수도 늘기 시작했다. 과거에는 유병률과 사망률의 차이가 없을 정도였지만, 현재는 치료를 시도해 보자고 적극적으로 권유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유: 반응률 뿐 아니라 환자 삶의 질도 좋아졌다. 2018년도 아산병원의 환자 데이터를 보면 OS 중앙값이 1년 가량으로 과거 대비 대폭 늘어났다. 지금은 더 좋아졌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환자 중에서는 4년 넘게 치료를 받고 있는 분도 있는데 이런 분들이 치료 성적의 변화를 나타내는 가장 확실한 증거다. 논문에 실려있는 췌장암 항암치료 생존 기간과 실제 진료 현장에서 체감하는 생존 기간은 차이가 크다.

김: 최근에는 올라파립도 선별적인 치료 접근이 가능해지면서 또 하나의 옵션이 생겼다. 앞으로 기대하는 이상적인 췌장암 치료 방향은 어떤 것인지 궁금하다.

전: 올라파립은 유지요법 치료로 볼 수 있다. 이런 약제의 등장 자체가 치료 옵션이 많지 않았던췌장암 치료의 대단한 진전이라 생각한다. 물론 폴피리녹스로 치료한 환자 중 올라파립을 쓸 수 있는 환자가 많지 않지만, 해당되는 환자들에게서는 췌장암에서도 유지요법으로 쓸 수 있는 약제가 생기게 된 셈이다. 젬시타빈이 유일한 치료였던 과거와 비교해 본다면 이런 치료 옵션이 생겼다는 것 자체가 큰 변화의 신호라고 생각한다.

천: 올라파립은 너무 소수의 환자에게만 해당되기 때문에 판을 바꿀만한 약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만한 신약이 나오기 전까지는 현재 있는 약제들의 부작용을 잘 관리하면서 치료를 이어나가는 것이 중요한 주제가 될 것 같다. 당분간은 지금의 치료 패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가지고 있는 옵션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 한국인 100명 중 5명이 올라파립 치료군에 해당된다고 하는데, 실질적으로는 그 수에 미치지 못한다. BRCA 돌연변이가 있더라도 플라틴 계열 치료에 실패하면 올라파립도 효과가 없기 때문에 임상적 효용성은 있지만 제한적인 치료제다.

췌장암도 폐암이나 유방암처럼 맞춤형 치료로 가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지만, 종양 유전학적으로 다른 암종보다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쉽지는 않을 것 같다. 췌장암은 조직을 얻기 어려운 암인 만큼 혈중 DNA 검사 등을 이용해 연구한다면 더 나은 결과물이 나오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당분간 K-RAS 돌연변이에 대한 표적치료제가 나오지 않는 한 새로운 약제는 등장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한정된 약제들을 가지고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회나 연구 집단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