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3월 4일은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비만연맹(The World Obesity Federation)에서 2015년 제정한 비만의 날이다.

올해 캠페인 주제는 ‘BMI 2024’로 2024년 올 한해 BMI (체질량지수) 20-24, 비만 진단 기준인 25미만을 유지하자는 취지를 담고 있다.

세계비만협회는 BMI(체질량지수)만으로 비만을 정의하거나 임상적 판단을 대체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합의서를 채택했다. 체질량지수의 위험도는 사회적 요인, 인종, 민족, 그리고 연령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성공적인 비만관리는 체질량지수의 변화만으로 평가되기 보다 환자와 의료제공자가 논의를 통해 함께 결정한 건강 및 삶의 질 목표가 얼마나 만족되었는지에 따라 평가되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즉 일차 평가는 BMI로 할 수 있으나 복부비만, 체지방량 등 대사이상의 위험을 높이는 다른 지표들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한비만학회(회장 가톨릭의대 김성래, 이사장 성균관의대 박철영)에서 주도한 한국 성인의 복부비만 진단 기준에 대한 연구(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07) 결과가 최근 국제학술지 1000회 인용을 돌파해 의미가 크다. 이 연구는 한국 성인의 복부비만 진단 및 관리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성과를 높이 평가된다. 특히 국제학술지에서 1,000회 이상 인용되어 그 결과를 전세계적으로 인정받고, 한국 비만학 연구의 의미있는 이정표가 되었다.

복부비만 진단 기준에 대한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복부비만의 적절한 진단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울산의대 박혜순 교수(대사증후군연구회 초대 위원장)와 부산의대 이상엽 교수 등 대한비만학회의 주요 연구자들이 참여했다. 연구자들은 한국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20세에서 80세 사이의 6,561명 한국 성인의 허리둘레와 대사 위험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한국 남성의 경우 허리둘레 90 cm 이상, 여성의 경우 85 cm 이상일 때 대사 위험 요소의 유의미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한국인의 복부비만 유병률을 평가하면, 한국 성인 인구 중 남성 19.8%, 여성 24.5%가 중심성 비만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준과 다른, 한국인 고유의 임상적 특성을 고려한 복부비만 진단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는 한국 성인의 건강 관리 및 비만 예방에 대한 매우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며 공중보건 정책 및 개인의 건강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세계비만협회는 비만관리와 체중감량을 구별해야 하며, 자격을 갖춘 임상의가 제공하는 비만 관리는 동반 질환(당뇨병, 고혈압, 고지질혈증 등)을 관리하고 삶을 질을 개선하는 근거 기반 치료법들로 구성되는 반면, 체중 감량은 비만 관리의 한가지 결과물에 불과하다는 합의서도 발표했다. 이 합의서에는 비만 관리는 체중이 아닌 건강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비만은 다른 만성질환과 마찬가지로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심각한 재발성 만성질환이며 환자의 건강을 개선하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근거 기반한 비만 치료법(영양 및 행동 교정, 신체 활동, 약물 치료, 허가된 기기의 활용, 대사/비만 수술 등)이 사용 가능하지만, 전세계적으로 의료보험제도는 효과적인 비만 관리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고 있으며 이는 환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음을 꼬집었다.

한편, 비만 및 중증 비만에 대한 근거 기반 치료가 이뤄지지 않아 환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1형당뇨병 환자와 인슐린을 사용하는 또는 혈당변동폭이 크거나, 저혈당이 발생하는 2형당뇨병 환자의 임상 경과 개선을 위해 사용 권고되는 연속혈당측정기(Continuous glucose monitor, CGM)의 사용이 그 예다.

대한비만학회는 당뇨병이 없는 사람들의 체중 감량을 위해 연속혈당측정기(CGM) 비만관리 방법 확산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성명서도 세계비만의 날의 맞이하여 발표했다. 학회 진료지침위원회의 문헌고찰 결과, 체중 관리에 대한 연속혈당측정기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는 매우 드물고 소규모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단기간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만 일부 존재하며 그 효과가 크지 않아 여러 사람에게 일상적 사용을 권장할 만큼 충분히 신뢰하기 어렵다.

비만 연구에 전념하고 있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인 대한비만학회는 비만관리와 건강개선은 종합적인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비만에 대한 인식전환과 임상연구를 통해 체중관리에 효과를 보이는 비만 치료 옵션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유용한 비만 정보지식을 널리 제공하고 위해 학회에서는 ‘비만의 모든 것’ 유튜브 채널과 일반인을 위한 홈페이지도 운영하고 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