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인성 한국장기조직기증원장(가운데)과 단체사진
문인성 한국장기조직기증원장(가운데)과 단체사진

녹내장은 실명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1~2위를 다투고 있는 질환으로, 많이 진행된 상태로 늦게 진단된 경우에는 치료하더라도 실명을 피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녹내장이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실명 이전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특별한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거나, 단순히 피곤하거나 노화로 인한 증상이라고 생각하기 쉬워 안과 진료시기를 놓치고 조기 진단의 기회가 사라지게 된다.

녹내장의 초기 증상은 주변부 시야가 서서히 좁아지는 것이다. 정상적으로는 우리가 무엇을 집중해서 보고 있더라도 주변에 어떤 물체가 있는지 혹은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집중해서 보는 것에서 점점 멀리 떨어질수록 점점 흐리게 보이며, 더욱 주변부로 가면 더 이상 보이지 않는 곳이 생기게 된다. 그 경계선 안의 영역을 바로 시야라고 하는데, 일상생활에서 시야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야가 좁아지는 것을 알아채기 쉽지 않다. 이러한 과정에서 점차 녹내장이 진행하여 시야의 중심부가 흐려지면 갑작스럽게 시력이 저하되고 일상생활에 큰 불편이 생기는 것이다.

녹내장 진단을 위한 선별검사에는 안압, 안저검사 등이 있다. 만약 고도근시, 고도원시, 녹내장 가족력 등이 있다면 녹내장 선별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안압은 보통 10-21 mmHg 범위에 있으며, 이보다 높은 경우 고안압이라고 한다. 안압이 높을수록 시신경이 손상되어 녹내장이 발병할 위험이 높아진다. 하지만 안압이 정상범위라도 녹내장이 발병할 수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 시행한 역학조사에서 발견된 녹내장 환자의 안압은 대부분 정상범위 안에 있었으므로 녹내장 진단을 위해 안압만 검사하는 것으로는 많은 녹내장 환자의 진단을 놓치게 된다. 따라서 망막과 시신경을 관찰하는 안과 기본 정밀검사인 안저검사도 받아야 하는데, 이를 통해 시신경과 망막에서 녹내장의 특징적 변화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오원혁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안과 교수는 “최근에는 안저를 사진으로 찍어서 남기는 안저촬영이 보편화되어 녹내장을 비롯한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 등 망막질환의 진단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며, “이러한 선별검사를 통해 녹내장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빛간섭단층촬영, 시야검사 등을 추가로 시행하여 녹내장을 확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녹내장의 치료는 안압을 낮추어 녹내장의 진행속도를 늦추는 것이다. 안압이 정상범위 안에 있다고 하더라도 안압을 더 낮추면 녹내장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기본적으로 안약을 점안하여 안압을 낮추는 약물치료가 우선이지만, 일부에서는 약물치료로 목표안압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레이저 혹은 녹내장 수술이 필요하다.

오원혁 교수는 “녹내장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며, “만 40세 이상에서는 녹내장에 대한 선별검사를 받는 것이 좋고, 최근에는 20~30대 녹내장 환자도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젊은 사람이라도 꾸준하게 안과 진료를 받아 적절한 검사를 통해 녹내장 등의 안과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