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골대사학회 김덕윤 이사장
대한골대사학회 김덕윤 이사장

인구 고령화에 따라 사회적 손실이 매우 큰 노인 골절 예방을 위한 다양한 의견과 정책 제안이 나왔다.

대한골대사학회가 3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대한민국 골절 예방 2025 로드맵 정책 토론회’에서는 골절 예방을 위한 골다공증 치료 환경 개선 방향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됐다.

우리나라 50세 이상 성인 4명 중 1명은 골다공증이 있고, 대부분의 골다공증 치료제가 골절을 5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골대사학회 이영균 역학이사는 골절 예방 치료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급여 기준에 대해 지적했다. 이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의 골다공증 치료에 대한 급여 사항은 골밀도 T-score -2.5 이하를 기준으로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준으로 인해 골다공증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T-score 가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치료를 지속할 수 없게 된다”며 “국제적 가이드라인에서는 T-score -2.5 기준뿐만 아니라 골절 위험도를 평가하고 고혈압이나 당뇨 같은 다른 만성 노인성 질환처럼 지속적으로 치료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며, 치료율 항샹을 위해 국내 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치료제에 있어서도 비효율적인 기준을 지적했다. 골형성 촉진제의 경우 국제적 가이드라인에서는 초고위험군에서 일차약제로 권고하고 있는데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급여 기준상 최소 1년 이상 골흡수 억제제를 사용한 이후에야 골형성 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골절 초고위험군의 골절 예방을 위해서는 국제 진료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도록 초기에 골형성제제 투여 후 골흡수 억제제로 전환하는 순차적인 치료가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골절 환자의 재골절을 막을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대한골대사학회 하용찬 FLS연구이사에 따르면 국내 50세 이상 인구에서 골다공증 골절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재골절 고위험군 환자 규모는 1년차 4.2%, 2년차 12.1%, 3년차 18.8%, 4년차 24.8%로 계속 높아지고 있다. 재골절은 이전의 골절 부위와 무관하게 다른 부위에서 발생하며 재골절환자 10명 중 7명 이상이 치명률이 높은 척추 골절을 경험한다.

더 큰 문제는 절반 이상의 골절 경험환자들이 2차 골절 예방을 위한 골다공증 치료를 받지 않고 재골절 위험에 방치돼 있다는 것. 실제 재골절 고위험군의 골다공증 골절 환자 10명 중 4명(42%)만 1년 내 골다공증 약물 치료를 하고, 척추 골절을 제외하면 골절환자 10명 중 2~3명(22.6%~36.6%)만이 1년 내 약물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하 이사는 코디네이터 및 재활치료를 중점 기반으로 하는 재골절 통합 예방 프로그램(Fracture Liaison Services , FLS)을 소개하며 “우리나라만의 재골절 예방 서비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FLS는 골다공증 환자를 위한 코디네이터 기반의 통합적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으로 미국, 영국, 호주, 싱가포르 등 전 세계 11개국에서 도입 및 운영하고 있다.

재골절 위험이 높은 취약성 골절 환자의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과 골절 환자의 인지율 및 치료율 향상, 의료 서비스 공급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개선, 조기 개입을 통한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FLS를 도입하여 활용하는 나라들의 경우, 전문 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초기 진단부터 예방, 치료 및 지속적인 사후 관리에 이르는 포괄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취약성 골절 환자에 대한 지역/국가 단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장기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이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토론회 전경
토론회 전경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실 감동은 선임 보좌관은 노인 의료정책 및 지원에 대해 공감하며,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한 “전문인력 확보, 장비를 비치 단계적으로 계획, 확대해서 더 많은 고령자 어르신들이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특히 다양한 정책 중에서 개별 질환을 세심하게 살펴봐야 한다는 것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국회 이종성의원실 성종호 선임 보좌관은 “골절 예방을 위한 치료를 정부가 적극적 유도하지 못하고 있다”며 “사전 예방에 국가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골형성 촉진제를 신속히 사용 못하는 점은 비상식적인 것 같다”며 “골다공증 치료 정책이 건강보험 재정, 장기요양보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과제라는 점을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챙기겠다”고 전했다.

언론을 대표한 이진한 동아일보 기자는 구체적인 대국민 캠페인 방안을 제시했다.

닥터 헬기 소리에 대해 '소리가 생명'이라는 점을 골자로 한 ‘소생캠페인’의 성공을 예로 들며, ‘튼튼한 뼈가 활기찬 노후를 좌우한다’는 주제 국민이 릴레이로 참여하는 뼈 소생 캠페인 진행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최경호 사무관은 “골다공증에 대한 인식도 비만, 난임처럼 치료의 개념으로 바뀌고 있고 건강보험 적용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는 상황”이라며 “골절은 예방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은 상식적으로 수긍하는 내용이므로 정책 방향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이라고 공감했다.

이어 “정책 차원에서 시뮬레이션 해보니 T-score 기준 수치 하나를 바꾸고 약제 우선순위를 바꾸는 것만으로 재정이 매우 크게 변화하므로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전제하며 “정책적으로 하이 리스크 환자들도 고려해야 하고 의료지출 부담에 있어서도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지 않도록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