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조절이 어렵고 비정상적인 기분이 장시간 지속되는 장애를 일컫는 기분장애 질환 환자가 지난해 100만 명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기분장애(F30~F39)’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총 진료인원은 2016년 77만 8천 명에서 2020년 101만 7천 명으로 23만 9천 명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6.9%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26만 5천 명에서 2020년 34만 5천 명으로 30.2%(8만 1천명) 증가, 여성은 2016년 51만 3천 명에서 2020년 67만 1천 명으로 30.6%(15만 8천 명) 증가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2배 많았다.

< 2016년~2020년 ‘기분장애’ 질환 성별 진료인원 >

(단위: 명, %)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증감률

(16년 대비)

연평균

증감률

전체

777,781

816,859

893,478

963,239

1,016,727

30.7

6.9

남성

264,681

279,265

307,985

332,343

345,302

30.2

6.9

여성

513,100

537,594

585,493

630,896

671,425

30.6

7.0

연령대별로는전체 진료인원 101만 7천 명 중 20대가 16.8%(17만 1천 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16.2%(16만 4천 명), 50대가 14.4%(14만 7천 명)의 순 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20대 18.6%, 60대 14.8%, 50대 14.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16.9%로 가장 높았고, 20대 및 50대가 각각 15.9%, 14.5%를 차지했다.

특히, 9세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 2020년 ‘기분장애’ 질환 연령대별 / 성별 진료인원 >

(단위: 명, %)

구분

전체

9세 이하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80대

이상

1,016,727

1,299

46,490

170,987

135,011

135,743

146,661

164,401

136,320

79,815

(100)

(0.1)

(4.6)

(16.8)

(13.3)

(13.4)

(14.4)

(16.2)

(13.4)

(7.9)

남성

345,302

808

17,484

64,235

47,251

48,935

49,431

50,961

42,747

23,450

(100)

(0.2)

(5.1)

(18.6)

(13.7)

(14.2)

(14.3)

(14.8)

(12.4)

(6.8)

여성

671,425

491

29,006

106,752

87,760

86,808

97,230

113,440

93,573

56,365

(100)

(0.1)

(4.3)

(15.9)

(13.1)

(12.9)

(14.5)

(16.9)

(13.9)

(8.4)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선영 교수는 남성은 20대가 가장 많고, 여성은 60대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기분장애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은 주요 우울장애로 생각되며, 주요 우울장애의 평생 유병률은 4.4%~30%로 알려진다"며 "대체로 여성에서 남성보다 2배 이상 빈도가 높다. 환자의 나이가 많아질수록 자주 재발하고 이환기간이 길어지므로, 고령 여성에서 진료 빈도와 기간이 길 것으로 생각된다“고 전했다. 또한 최근 젊은 층에서 불안장애, 우울장애의 빈도가 늘어나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여러 사회적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을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1,980명으로 2016년 1,532명 대비 29.2% 증가 하였으며, 남성은 2016년 1,038명에서 2020년 1,341명으로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6년 2,031명에서 2020년 2,623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대 이상이 4,501명으로 가장 많았다.

남성은 80대 이상이 3,835명으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70대가 4,974명 으로 가장 많았다.

한편, ‘기분장애’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16년 4천 299억 원에서 2020년 6천 757억 원으로 5년 간 57.2%(2천 459억 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2.0%로 나타났다. 2016년 대비 여성 진료비 증가율이 63.7%로 남성 46.3% 보다 높았다.

2020년 기준 성별 ‘기분장애’ 질환 건강보험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가 가장 높아 19.8%인 1천 337억 원을 사용했다.

남성과 여성 모두 20대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와는 차이를 보였다.

최근 5년간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성별로 살펴보면, 2016년 55만 3천 원에서 2020년 66만 5천 원으로 20.3% 증가하였으며, 여성의 증가율이 25.1%로 남성 12.2%의 2.1배로 나타났다.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10대가 95만 4천 원으로 가장 많았고, 가장 낮은 9세 이하의 1인당 진료비 49만 1천 원의 2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1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분장애 진료인원을 질병코드별로 살펴보면, 우울에피소드(F32)질환이 76만 6천 명으로 가장 많았고, 양극성 정동장애(F31) 질환은 11만 2천 명, 지속성 기분[정동]장애(F34) 질환은 8만 4천 명 순으로 나타났다.

박선영 교수는 “기분장애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은 주요 우울장애로 생각된다”며 “우울증과 조울증 두 질환은 기분장애의 가장 대표적이고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