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병원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지난 22일 발표한 ‘74개 대학병원 건강보험 보장률 분석결과’에 대해 산출 간 사용한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 이에 대한 정정을 요청했다.

경실련의 발표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총 4년간의 의료수입 및 건강보험지급액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강보험 보장률을 산출한 결과, 경희대병원은 49.3%, 하위 3번째에 해당하는 72위로 명시됐다.

하지만, 산출 과정에 있어 오류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용된 데이터 중 건강보험지급액은 경희대학교병원의 수치를 사용했지만, 의료수입은 경희대학교병원이 아닌, 경희의료원 산하 3개병원(경희대병원, 경희대치과병원, 경희대한방병원)의 합산액이 사용됐다. 경희의료원은 사립학교법 및 하위 법령에 따라 사업자인 의료원으로 통합 작성되고 있다는 점이 간과된 것이다.

특히, 경희대학교한방병원과 경희대학교치과병원의 경우, 2019년 기준 경희의료원 전체 진료수익의 19%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는 통계의 큰 오류로 작용했다.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재산출 결과, 4개년 평균 57.52%로 경실련에서 발표한 49.31%와 오차가 존재했다.[2016년 55.08%, 2017년 51.30%, 2018년 63.56%, 2019년 60.93%]

경희대병원 최석근 신경외과 중환자실장은 “4년 간의 평균 수치를 따질 것이 아닌 현재 기준의 보장률로 비교하는 것이 맞다”며 “경실련은 과거의 수치까지 합산하여 평균을 냄으로써 보장률을 낮춰 보이게 표현하려던 의도가 아닐까”라며 “코로나19의 상황 속에서 모두가 힘든데 상호간의 지원 정책을 모색하며 서로 이 난국을 돌파해야 할 시점에 이런 행동을 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강조했다.

특히, 경희대병원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는 ‘감염병 대책에 따른 의료 시설 구비’를 위해 대대적인 병동리모델링으로 2백 병상 이상 축소해 운영했고 이로 인해 평균적인 보장률이 감소될 수 밖에 없었다. 병상이 정상적으로 가동된 시점인 최근 2년 동안의 보장률을 살펴보면 평균 62.25%를 기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석근 실장은 “보장률 산출식에 있어서 잘못된 데이터를 대입한 것은 경희대병원뿐 아니라 강동경희대병원도 마찬가지”라며 “공공의료 확충에 대해서 반대하는 입장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그에 앞서 기존 인프라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적합한 수가 책정과 지원이 있어 환자들에게 보장률도 더욱 높이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