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9년 3월 25일 서울 명동소재 성모병원에서 만성 신부전증을 앓고 있던 환자의 대한민국 최초 신장 이식 수술을 성공하여 우리나라 의학사에 한 획을 그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가 50주년을 맞았다.

장기이식은 신장, 간장, 소장, 췌장 등 장기가 질병으로 본래 기능을 상실했을 때 다른 사람의 새 장기로 대체하는 의학이다. 하지만 장기이식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작은 혈관이 막히지 않게 혈액을 통과하게 하는 봉합기술과 수술 후 이식한 장기가 거부반응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면역억제기술이 필요하다. 그러한 이유로 이식은 인류가 꿈꾸어 왔지만 실현하기 힘든 난제로 알려져 왔었다 1950년대 세계적으로 혈관 외과술과 이식면역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면서 장기이식 분야도 태동을 시작하고, 1954년 미국에서 일란성 쌍둥이에서 세계 첫 번째 신장이식이 성공했다.

국내최초 신장이식수술 장면(1969.3)
국내최초 신장이식수술 장면(1969.3)

대한민국 장기이식의 태동과 발전

대한민국은 한국 전쟁 이후 1960년대 들어서야 미국 등 선진국에서 의학 수련을 마친 국내 의학자가 신 의료기술을 임상에 적용하기 시작하는 단계로 의학의 꽃인 장기이식 수술을 따라가기에는 역부족 이었다. 그러던 중 1969년 3월 25일 명동 성모병원에서 만성 신부전증을 앓았던 환자의 국내최초 신장이식을 성공한 것이다. 이는 세계최초의 신장이식수술이후 15년만에 이루어 진 일로 그 당시의 의학수준으로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역사적인 도전이었다.

이러한 도전은 결코 하루아침에 이루어 진 것은 아니었다. 1960년대 가톨릭의대 이용각·민병석 교수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장기이식이 가능할 것을 대비하여 동물을 이용한 신장·간이식 연구와 혈관외과 술기 연습이 활발히 이뤄졌다. 이러한 기초연구와 동물연구는 국내최초의 장기이식이 가능하게 된 원동력이 되었다.

1972년 이식수술 후 거부반응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면역억제제가 스위스에서 개발된 이후, 우리나라 장기이식분야도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1979년 1월 뇌사자 신장이식수술, 1988년 3월 뇌사자 간이식, 1992년 11월 심장이식, 1996년 7월 폐장이식, 2004년 4월 소장이식수술, 2011년 7개 다장기이식, 2014년 간 제외 소화기계 6개 장기 변형다장기이식이 국내 최초 성공했다.

우리나라 장기이식 수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식 건수도 증가하여,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자료에 따르면 2001년 1,370건에서 2018년 4,116건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간이식은 2002년 364건에서 2017년 1,482건으로 급증하였다.

1990년대 초까지 간암 환자가 간 이식 맞아도 5년 생존율이 30~40% 정도였다. 2000년대 들어 간이식 생존율 증가하였지만, 2017년 3년 생존율은 뇌사자이식이 72.57%, 생체간이식이 83.33%로 2002년과 비교 시 큰 차이가 없다. 이는 최근 혈액형이 맞지 않거나 이식이 불가능한 말기 간질환자까지 간이식 영역이 확대되며 새로운 삶을 선물한 결과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장기이식 대기자는 2019년 현재 31,764명이고, 2018년 장기기증 현황은 2,374건으로 이식받을 장기가 턱없이 부족하다. 우리나라 인구 100만명당 뇌사 장기기증자 수는 9.95명 수준으로 스페인(46.9명), 미국(31.96명) 등 외국보다 한참 떨어진다.

 

가톨릭 의대 장기이식의 발전

가톨릭대학교 장기이식의 역사는 한국 장기이식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 최초로 신장이식을 성공한 후 강남성모병원과 서울성모병원을 거치면서 장기이식분야를 선도해 왔다. 1983년 국내 최초 동종골수이식, 1993년 뇌사자로부터의 간이식, 1995년 심장이식, 1996년 신장과 췌장 동시이식, 2002년 골수이식 후 간이식 등을 성공시켰다. 2004년 고난이도 이식 수술인 소장이식, 2012년 신장과 조혈모세포를 동시에 이식, 2014년 간 제외 소화기계 6개 장기 변형다장기이식 모두 국내 최초로 성공시켰고, 지난해 국내 소장이식 최다 수술을 달성하였다.

또한 서울성모병원에서 신장이식 수술로 새 생명을 얻어 30년 이상 건강한 생활을 하고 있는 환우는 20명, 20년 이상은 188명이다. 이 중 신장이식 후 가장 오래된 환자는 94차로 이식을 받은 84세 남성 환자로 38년을 경과하였으며, 간이식은 1993년 처음으로 시행한 56세 남성 환자가 26년째를 맞이하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개원과 장기이식센터

2009년 서울성모병원 개원과 함께 장기이식센터가 중점육성센터로 지정되면서 장기이식에 특화된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센터는 이식환자만을 위한 중환자실, 수술실, 병동, 특히 외래 공간을 분리 운영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감염에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이식환자를 위해 대기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하며, 타과 환자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차별화된 병원 환경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식 환자를 위한 전문 의료진과 각 장기 별 코디네이터의 밀착지원 시스템으로 이식 환자와 기증자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서울성모 장기이식센터는 뇌사자 장기기증 부족을 해결하고자 2007년부터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의 부속병원을 하나로 연계하는 CMC 뇌사자 발굴 네트워크를 가동하고, 부속병원, 동문, 협력병원과의 핫라인을 구축하여 뇌사추정자 발생 시 신속한 상호연계를 촉진하고 있다. 그 결과 2018년 8월까지 총 407명의 뇌사장기기증자를 관리하여 1,962명의 장기 수혜자에게 새 생명을 안겨주어, 가장 많은 뇌사 장기기증자를 발굴하고 관리하는 의료기관으로서 보건복지부 표창을 받은 바 있다.

서울성모병원의 장기이식은 난치성 이식영역에 도전하여 이식의 이정표를 마련하였다. 지난 2015년에는 위장관희귀질환 소아에게 뇌사자의 장기 6개를 동시이식하는 국내 최초 변형다장기이식수술에성공하였다. 또한 백혈병과 만성신부전을 동반한 환자에서의 동시이식, 재생불량성빈혈환자의 신장이식, 간과 신장 동시이식, 골수 이식 후 간 이식 등 고난도 장기이식이 성공함에 따라 병원의 위상도 같이 향상되었다.

 

서울성모병원 신장이식 3,000례 돌파, 10년 생존율 70년대 25%→2010년대 92%

장기이식센터 신장이식팀은 지난해 8월 3,000례를 기록했으며, 이 중 2009년 5월 처음으로 성공한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은 200건을 넘었다. 과거 공여자와 수혜자의 혈액형이 부적합할 경우 이식 후 초급성 항체매개성 거부반응의 발생 위험 때문에 이식이 불가능 했다. 하지만 거부 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항체 주사와 혈장 반출술의 개발로 혈액형 부적합 이식이 가능해졌다. 이로써 가족 중 혈액형이 부적합하여 이식을 포기했던 말기 콩팥병 환자들이 이식의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식신장 생존율 10년 생존율은 70년대 25%에서 2010년대 92%으로 이식 성적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혈액형부적합이식의 이식신장 2년생존율은 92% 혈액형 적합이식 91%와 비교해도 차이가 없었다.

서울성모병원 간이식 성공률 95% 달성, 미국보다 앞선 수치

서울성모병원 간이식팀은 지난해 이식 수술 1000건을 돌파하였고, 간 이식 성공률 95%를 달성하였다. 이는 국내 평균 89.5%를 훨씬 웃도는 수준으로, 미국 UCLA 의대병원 85%, 피츠버그 의대병원 82%보다도 크게 앞선 수치이다.

간이식 환자의 1년 생존율은 85.5%, 10년 생존율은 68.7%이다. 간이식팀은 수혜자와 기증자 팀으로 나누어 수술함으로써,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고 있고, 외과, 소화기내과, 영상의학과, 감염내과, 병리과 등 최고의 의료진들로 구성된 다학제 협진시스템으로 1,120례의 수술을 성공으로 이끌고 있다.

2002년 4월에는 세계 최초로 골수 이식 후 간이식에 성공하여 면역억제제 복용을 중지하였으며, 2010년부터는 혈액형 불일치 간이식을 시행하여 위급한 상황에서 간기증자를 찾지 못해 안타까운 환자들의 이식을 가능케 했다. 또한 수혜자에게 이식하기에 크기가 작은 기증자의 간으로도 회복이 가능한 이식도 성공하는 한편, 기증자들의 회복시간과 미용을 고려하여 수술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복강경 수술기법을 통한 수술부위 상처크기 최소화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