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와 분류

무월경은 크게 일차성(원발성) 무월경과 이차성(속발성) 무월경으로 나 눌 수 있으며 원인은 다양하다(표 5-1, 표 5-2).

표 5-1. 무월경의 분류
표 5-1. 무월경의 분류
표 5-2. 무월경의 원인
표 5-2. 무월경의 원인

2. 무월경과 뼈의 연관성

무월경은 원인에 따라 성선기능저하로 성호르몬 농도가 낮아져 발생 하는 경우와 성선기능저하 외의 원인으로 발생하여 성호르몬 농도는 유지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1) 성호르몬의 영향

성호르몬은 골형성과 유지에 매우 중요하며 젊은 여성에서 성호르몬 농도가 낮으면 골형성에 문제가 발생해 낮은 최대골량을 형성하게 된다. 최대골량을 형성한 이후 급속한 골소실이 유발되므로 두 경우 모두 골감 소증이나 골다공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아진다.

→ 치료

성선기능저하증에서 일반적으로 호르몬치료를 권고한다.

 

2) 성호르몬 외의 영향

(1) 갑상선기능이상, 쿠싱증후군

무월경의 원인으로 성선기능저하증 외에 다양한 호르몬 이상이 있다. 이러한 호르몬 이상은 뼈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이차성 골다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치료

기능성 시상하부 무월경이나 갑상선기능이상 등은 원인 질환의 교정이 우선이며 성선기능저하증 여성 중 터너증후군과 같이 저신장 의 경우 성호르몬치료보다 성장호르몬치료를 우선 고려해야 한다.

 

(2) 기능성 시상하부 무월경

섭식장애, 스트레스, 심한 운동 등은 무월경을 유발한다. 마약성 진통제(opioid), 렙틴, 부신피질자극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 성장호르몬 등의 조절 이상을 유발해 결과적으로 시상하부에서 성선자극호르몬분비 호르몬의 박동성 분비가 억제되어 무월경이 유발된다.

흔히 젊은 여성에서 최대골량의 형성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으며 여성 호르몬치료를 시행하더라도 골밀도가 충분히 증가하지 않는다. 이는 단 순히 성호르몬 저하 외에도 영양결핍 상태이기 때문이다. 운동량이 많은 여성의 경우 운동이 뼈에 미치는 좋은 효과를 상쇄할 만큼 영양결핍 상태 이므로 운동을 제한해야 하며 섭식장애 여성은 우선 식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 치료

섭식장애나 6개월 이상 무월경인 젊은 여성에서 골밀도검사를 권 고한다. 젊은 여성이므로 DXA에서 Z-값을 사용하는데 미국스 포츠의학회에서는 운동량이 많은 여성의 경우 낮은 골밀도의 기 준으로 Z-값 -2 대신 -1을 권고하므로 수치에 따른 치료 시 고 민이 필요하다.

 

3. 주의사항

무월경 여성은 원인 질환에 따라 치료가 다르므로 원인 질환의 감별이 중요하다. 골밀도가 낮아 약물치료를 고려할 경우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체내 반감기가 길고 뼈에서 방출과 재흡수 과정이 반복되므로 젊은 여성 에서 투여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치료를 받은 여성이 임신 시 비스포 스포네이트가 태아의 골격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 이므로 충분히 설명 후 치료를 시작하고 피임을 권하도록 한다.

 

* 참고문헌

1. 대한산부인과학회.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3판. 군자출판사, 2012

2. Berek JS. Berek & Novak's Gynecology. 15e. LWW, 2011

3. Bishop N, et al. J Clin Densitom 2008;11:29-42

4. Gordon CM. N Eng J Med 2010;363:365-71

5. Lambrinoudaki I, et al. Ann N Y Acad Sci 2010;1205:45-50

6. Meczekalski B, et al. Gynecol Endocrinol 2008;24:4-11

7. Nattiv A, et al. Med Sci Sports Exerc 2007;39:1867-82

<지침발행 : 대한골대사학회>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