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국내서 약 7천여 명의 환자들이 발생하지만, 5년 생존율은 10%에 불과한 '담도암'. 첫 진단 시 수술이 가능한 환자의 비율이 30%에 그칠 뿐 아니라, 수술을 받더라도 60~70% 가량의 환자들에게서 재발이 발생하는 만큼 약물 치료의 의존도가 높은 암으로 꼽힌다. 

그간 담도암의 2차 치료는 '5-FU(플루오로우라실, fluorouracil)' 단독요법이나 '폴폭스(옥살리플라틴+이리노테칸+플루오로우라실)'를 주로 사용해 왔지만, 진료 현장에서는 더욱 효과적인 치료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상황. 

이같은 상황에서 최근 한독의 '페마자이레(성분명 페미가티닙)'가 섬유아세포성장인자 수용체2(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FGFR2)의 융합 또는 재배열이 존재하는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도암 치료제로 국내 허가를 획득, 환자와 의료진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지는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천재경 교수를 만나 페마자이레의 효용성에 대해 들어봤다.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천재경 교수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천재경 교수

페마자이레, 환자 생존기간 대폭 개선

담도암의 발병률은 대략 10만명 당 2~7명 수준으로 국제적으로 희귀한 암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간내 담도암(Intrahepatic), 담낭암(gallbladder), 간문부 담도암(extrahepatic)으로 나뉜다. 란셋 논문에 따르면, 담도암 발생 부위별 환자 분포도는 간내 담도암이 10~20%, 담낭암이 40~50%, 간문부 담도암이 40%로 간내 담도암이 가장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국내 기관이 발표한 한국인 담도암 환자 분포도에서는 간내 담도암이 40~50%정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가운데 FGFR2 융합 변이는 간내 담도암 환자의 2~10%정도에서 발견될 정도로 매우 희귀한 유전자 변이로 보고되고 있다.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천재경 교수는 "FGFR 변이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 중 FGFR2 융합 변이는 간내 담도암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며 "FGFR2 융합 변이는 일반적인 담도암 환자들에 비해 비교적 예후가 좋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이에 해당하는 환자들이 극히 소수인데다 별다른 치료법이 없어 그간 주목받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최근 생존기간을 크게 개선한 FGFR2 융합 변이 표적치료제 페마자이레의 국내 허가는, 치료제를 기다려 온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반가운 소식일 수 밖에 없다. 

페마자이레는 허가의 근거가 된 FIGHT-202 임상 연구에서 37%의 반응률(ORR)을 달성하는가 하면, 무진행생존기간(PFS) 중앙값 7개월, 전체 생존 기간(OS) 중앙값은 17.5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응지속기간(DOR) 중앙값은 7.5개월, 질병통제율(DCR)도 82%로 지금까지 등장한 담도암 치료제들 가운데 가장 우수한 치료 효과를 입증해 냈다. 

천재경 교수는 "페마자이레가 40%에 달하는 반응률과 20개월에 육박하는 생존기간 중앙값을 보여줬다는 것은 담도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는 의미있는 수치"라며 "약제의 반응률과 생존기간 데이터는 1차 치료 보다 2차 치료때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페마자이레는 후속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좋은 효과를 증명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4기 담도암은 예후가 나쁜 암이며, 기대여명 역시 12개월 수준에 그치는 정도다. 또한 2차 치료로 쓰이는 폴폭스나 폴피리녹스 등의 약물에 기대하는 반응률은 10% 내외에 불과하여 그 효과에 한계가 있었다.

천 교수는 "페마자이레는 경구용 약물이라는 강점도 보유하고 있다"며 "담도암은 고령의 환자들이 대부분인 담도암은 환자들이 병원을 자주 방문하기 힘들어 하지만, 경구용 약물의 등장으로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과 치료 편의성도 증대될 것"이라고 전했다.

급여 등재·NGS 검사 활성화 등 해결해야 할 숙제도 많아

페마자이레가 우수한 효과로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도 존재하고 있다. 먼저 '고가의 치료제'라는 점.

천 교수는 "페마자이레의 담도암 치료 효용성에 대해서는 누구도 이견이 없을 것"이라며 "다만 아직 급여가 적용되지 않은 고가의 약물이기 때문에 환자들에게는 비용적인 부담이 상당히 클 수 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그는 "비용적인 문제로 치료를 받을 수 없는 '그림의 떡'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면 환자들에게는 오히려 치료제가 없는 것보다 못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며 "담도암은 세포독성항암제를 제외하면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약제가 극히 드문 난치암인 만큼, 환자 치료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루 빨리 보험급여가 적용 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검사 활성화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페마자이레가 타겟으로 하고 있는 FGFR2 융합/재배열 변이는 현재 NGS 검사를 통해서만 발견되고 있다. 이에 ESMO가이드라인이나 NCCN가이드라인에서는 담도암 진단 시 NGS 검사를 시행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담도암으로 진단이 되더라도 실제로 NGS를 시행받는 환자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천 교수는 "담도암에서 NGS 검사를 사용하지 않았던 가장 큰 이유는 유전자 변이를 타겟으로 하는 별다른 치료제가 없었기 때문"이라며 "그나마 임상 연구에 참여하는 의료진들은 NGS 검사를 시행해 왔지만, 임상에 참여하지 않는 의료진들은 검사를 통해 유전자 변이가 발견된다 하더라도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없어 NGS의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덜 느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이제는 FGFR2 융합 변이가 발견되면 이에 걸맞는 치료를 할 수 있게 됐으니, NGS를 더욱 활성화 시켜야 할 시점이라 생각한다"며 "향후 암 치료의 패러다임이 정밀의학을 지향하고 있는 만큼 NGS는 선택이 아닌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FRFG2 외에도 IDH-1이 현재 FDA의 허가를 획득한 상태인데다, MDM2 증폭과 같은 다양한 변이를 타겟으로 하는 표적치료제들도 개발 중인 만큼 NGS 검사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는 것. 즉 NGS 검사를 통해 각각의 담도암 유전자 변이를 확인해 그에 따른 맞춤 치료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는 의미다. 

끝으로 천 교수는 "여전히 담도암이라고 하면 절망감부터 가지는 환자들이 있다. 하지만 면역항암제를 시작으로 페마자이레라는 표적치료제와 같은 새로운 약물들이 등장하고 있고, 현재 개발 중인 약제들도 다수 존재하는 만큼 희망을 잃지 말고 치료를 꾸준히 이어나갔으면 좋겠다"며 "정부도 환자들이 효과가 뛰어난 약제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담도암의 희귀성과 특수성을 인정해 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