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경과의사 50% 편두통을 경험하지만, 편두통 유무에 따라 치료 패턴 차이은 없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대한신경과학회는 ‘한국 신경과 의사들에서 일차두통질환의 유병률과 치료 패턴(김병건, 노원을지대병원 신경과/ 조수진, 한림대 동탄병원 신경과)’에 대한 연구 논문을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게재했다.

세계적으로 편두통의 유병률은 13%이고 여성에서 3배 정도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세계 각국에서 신경과 의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보면 신경과 의사의 절반 정도가 편두통을 겪고 있으며, 남녀 간에 유병률에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어 인구 집단에서의 조사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번 연구는 국내 신경과 의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로 이루어진 연구였다. 한국 신경과 의사에서 편두통 유병률은 매우 높아서 49.8%였으며 남녀 간에 차이는 없었다. 또한 조짐편두통과 일차찌름두통의 유병률 각각 12.7%와 26.7%였으며,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는 군발두통 또한 1.4%였다.

신경과 의사에서 편두통 유병률이 높은 이유는, 신경과 의사는 본인의 반복되는 두통에서 편두통의 특성과 동반 증상을 잘 기억하고, 가족력, 유발 인자, 치료에 대한 반응 등 편두통의 다양한 측면을 통하여 자신의 두통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음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일반인의 대부분은 두통이 시작되자마자 진통제를 복용하기 때문에 자신의 두통이 편두통의 진단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드물게 발생하는 조짐편두통의 경우 대중들이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다.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진 군발두통도 신경과의사의 1% 이상이 경험하고 있어 실제 존재하는 것보다 진단이 덜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일차찌름두통이나 군발두통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아 환자나 일반의에 의하여 편두통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흔하다. 두 질환의 치료방법이 편두통과는 완전히 다름을 고려할 때 비신경과 의사들을 대상으로 이들 두통에 대한 교육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신경과 전문의 본인이 편두통 환자인 경우에 환자에 대한 공감도는 더 높지만, 치료 패턴에 있어서는 편두통을 경험하지 않은 신경과 의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는 편두통치료에 있어 대부분의 신경과 의사가 진료지침에 따라 치료하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