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실 전경
투석실 전경

대한신장학회가 투석전문의 수급부족 사태에 대해 해결안을 제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학회는 지난 5월 26일부터 29일까지 용산 드래곤시티에서 열린 대한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KSN 2022)에서 현재 보건복지부에서 마련 중인 ‘인공신장실 설치 및 운영기준 권고안’의 쟁점이 되고 있는 ‘투석전문의 수급부족’에 대해 심도있는 토의를 진행했다.

토의에서 신장학회 일반이사 황원민 교수(건양의대 신장내과)는 ‘투석전문의의 현재와 미래’라는 발제를 통해 해결책을 제시해 주목된다.

황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는 혈액투석실의 국가적 관리체계가 법제화되지 않아 혈액투석실에 근무하는 의료진의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적하고 “심평원조차 홈페이지 내 ‘병원찾기’에 혈액투석 등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 전문의료진에 대한 정보는 없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인공신장실에 혈액투석을 전문으로 하는 의사들이 근무하는지 국민들이 쉽게 알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투석환자들이 양질의 투석치료를 받을 권리를 보장받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국내 유일의 국가 질 관리제도인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는 외래에 국한된 절반의 결과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투석을 하고 있는 요양병원, 정신병원, 한방병원의 투석 질 평가와 투석전문인력의 정보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투석전문의는 과거 매년 30~40명씩 배출되는 것에 비해 현재 매년 100여 명씩으로 3배 이상 증가하였다고 보고하고, 이는 신규 내과전문의의 수가 연 500명대로 정체되거나 감소되고 있는 데에 비하면 비약적인 증가라고 소개했다. 매년 폭증하고 있는 혈액투석환자의 증가 속도에 비례하여 투석전문의 숫자도 증가하고 있어 투석전문의 수급에 대한 미래는 긍정적이라고 평가하고 국가적인 추가 정책을 제안했였다.

첫째,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는 ‘의료 취약지 인공신장실지원사업’의 규모를 확대하여 의료인력의 구인난을 해결한다. 둘째, 올해 7월부터 시행되는 ‘공공임상교수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의료 취약지 공공병원에 투석전문의를 배치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셋째 투석전문의가 없는 지역 병의원과 지역 대학병원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투석환자들의 협진제도(예: 촉탁의 제도, 월 1회 방문하여 협진 및 의료자문)를 통하여 양질의 투석진료를 폭넓게 제공할 수 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대한신장학회 이영기 투석이사(한림의대 강남성심병원)는 “투석전문의 인력수급문제는 적정 투석전문의 수 예측 및 양성에 대한 로드맵을 마련하고 인력수급 부족에 대한 국가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점차 해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한신장학회 양철우 이사장(서울성모병원 신장내과)은 ”국민들에게 세계적 수준의 양질의 투석진료를 제공하는 큰 목표 아래 보건복지부, 의사협회, 병원협회, 요양병원협회 및 대한신장학회를 아우르는 ‘인공신장실 질 관리 협의체’를 구성하여 현실적인 문제를 하나하나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해법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