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 절반이 막혀도 증상이 없어서 무서운 질환으로 일컬어지는 '경동맥 질환'이 연평균 1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I65.2)’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6만 2천 명에서 2020년 10만 명으로 3만 8천 명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2.7%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3만 8천 명에서 2020년 6만 명으로 58.3%(2만 2천 명)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6년 2만 4천 명에서 2020년 4만 명으로 65.8%(1만 6천 명) 증가했다.

2020년 기준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0만 명) 중 60대가 35.3%(3만 5천 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30.7%(3만 1천 명), 50대가 17.2%(1만 7천 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0대 34.4%, 70대 31.5%, 50대 17.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6.5%로 가장 높았고, 70대 및 50대 각각 29.5%, 17.6%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서권덕 교수는 “경동맥 협착은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도 증가하는 질환"이라며 "또한, 흡연이 큰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흡연율이 높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경동맥 협착 유병률이 더 높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 명당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194.5명으로 2016년 122.1명 대비 59.3% 증가하였으며, 남성은 2016년 147.7명에서 2020년 231.5명으로 증가하였고, 여성은2016년 96.2명에서 2020년 157.3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당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890.5명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70대가 1,201.7명으로 가장 많고, 80대 이상이 1,109.8명, 60대 642.0명 순이며, 여성은 70대가 631.8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437.6명, 80대 이상이 408.1명 순으로 나타났다.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6년 498억 원에서 2020년 886억 원으로 2016년 대비 77.8%(388억 원)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5.5%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성별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 건강보험 총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35.5%(315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32.8%(291억 원), 80대 이상 15.4%(137억 원)순 이였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70대가 37.2%(219억 원)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60대가 32.6%(97억 원)로 가장 많았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살펴보면, 2016년 80만 4천 원에서 2020년 88만 7천 원으로 10.3% 증가하였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016년 89만 4천 원에서 2020년 98만 7천 원으로 10.4%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6년 66만 4천 원에서 2020년 73만 8천 원으로 11.1% 늘었다.

2020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9세 이하가 208만 8천 원으로 가장 많았고, 80대 이상이 118만 6천 원, 70대 102만 6천 원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서권덕 교수는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에 대해 "동맥경화증에 의하여 경동맥의 협착이 진행되기 때문에 동맥경화증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들이 발생 원인"이라며 "나이가 들면서 동맥경화증은 서서히 진행하게 되며,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과 같은 질병이 있을 때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면서 "흡연, 과도한 음주, 비만과 같은 생활 습관과 관련된 요인도 동맥경화증을 진행시키는 위험 요인"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