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데이비드 줄리어스 교수와 아르뎀 파타푸티안 교수(사진제공 : 노벨위원회 홈페이지)
왼쪽부터 데이비드 줄리어스 교수와 아르뎀 파타푸티안 교수(사진제공 : 노벨위원회 홈페이지)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분자 수준에서 촉각·통각의 원리를 규명한 학자들이 받았다. 이는 미래 통증치료약제 개발에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다.

지난 4일(현지시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데이비드 줄리어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샌프란시스코캠퍼스 생리학과 교수와 아뎀 파타푸티언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신경과학과 교수가 수상자로 발표됐다. 이들은 인간이 어떻게 온도·압력을 인식하는지 설명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이들의 발견으로 감각을 통한 느낌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됐으며 만성 통증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데이비드 줄리어스 교수는 여러 감각 및 통증을 매개하는 중요한 일과성 이온채널형 수용체들을 발견하였다. 그 중 일명 '캡사이신 수용체'로 불리는 통증 온도 수용체 TRPV1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기전을 규명했다.

이에 대해 세브란스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신형 교수는 "우리가 매운 음식을 먹었을때 혀에서 엄청난 자극을 느끼는데, 이것은 매운 음식 속 캡사이신이 혀에 있는 TRPV1 등 온도 수용체를 자극해 매우 뜨겁다라고 느끼기 때문"이라며 "이 분자 수용체는 단순히 온도를 느끼게 할 뿐 아니라, 화끈거림 또는 따끔거림 이라는 통증 감각에도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데이비드 줄리어스 교수의 이 발견의 의의는 하나의 새로운 촉각 분자구조의 발견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난치성 만성통증과 신경병성 통증의 기전 이해에 있어 새로운 시야를 제공하였고, 미래의 통증 치료 약제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광국 교수는 "현재 TRPV1 관련 연구가 약물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며 "TRPV1의 이동통로를 차단해 신경 통증 자극을 줄여주는 리도카인(lidocaine), 나트륨 채널 차단제(sodium channel blocker), 칼슘 채널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 및 스테로이드 등 CRPS와 같은 희귀 통증 질환부터 일반 통증 질환까지 통증치료제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줄리어스 교수와 함께 노벨상을 공동 수상한 파타푸티언 교수는 압력에 민감한 세포를 찌를 때 피부·장기의 기계적 자극에 반응해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를 처음 발견했다. 이 단백질은 물리적인 감각에 반응해 뇌에 신호를 보내 인간이 미세한 외부 자극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