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홍관 암센터 원장
서홍관 암센터 원장

우리나라의 암 정복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립암센터와 대한암학회는 공동으로 지난 21일 국립암센터 국가암예방검진동 국제회의장에서 개원 20주년 기념 심포지엄 ‘국가 암 정복의 성과와 미래’를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립암센터 개원 20주년을 기념해 그간의 국가 암관리 사업에 대한 업적을 공유하고, 우리나라 암 정복의 청사진을 세우기 위해 마련됐다.

1부 ‘국가 암 정복의 성과와 미래(암관리)’ 주제 발표에서 성주헌 서울대학교 교수는 ‘빅데이터 기반 암관리 사업’의 방향에 대해 제안했다. 성 교수는 ‘근거기반(EBM)’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데이터 기반의 암관리 사업에 대한 제안으로 암정복을 위해 필요한 지혜(예방수반, 정책대안)와 unmit needs의 해결을 위해 복무할 수 있는 근거 확보를 위한 데이터시스템을 전략적, 능동적, 지속적으로 기획·구축하고 여기서 생산되는 정보 지식, 근거 및 지혜를 암정복에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암전주기의 데이터 필요성에 대해서도 역설했다. 그는 “지금까지와 다르게 참여자 개념에서 동반자 파트너십, 지역사회 기반 참여”를 제안하며, 또한 플랫폼에 있어서는 “기존 국가기관이 필요한 데이터를 만들었다면 이제는 표준, 질 관리로 전환하는 플랫폼이 칠요하다”고 제안하며, ”여러 사람의 각각의 데이터가 아닌 한 사람의 EMR, 생활, 유전체 갖춘 깊이 있는 데이터들이 쌓여가며 파워풀한 데이터가 되고 암관리에 매우 중요한 자원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온라인 심포지엄 전경
온라인 심포지엄 전경

2부 ‘국가 암 정복의 성과와 미래Ⅱ: 암 연구’에서 백순명 연세대학교 교수(테라젠바이오 연구소장)은 국내 암 연구의 문제점 및 해결책에 대해 제시했다.

그는 우선 국내 암 연구 시스템의 문제점으로 ‘미국 NCI와 같은 central control tower’의 부재를 꼽았다. “이러한 국내 현실로 장기적인 국가 차원의 연구 목표 설정이 어렵고, Ad hoc 사업단 구성을 통한 국가사업 진행으로 비효율적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국립암센터에서 국가 암연구비를 총괄 기획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한 대형 암센터의 장점을 살리는 Cancer Center Core Grant의 필요성도 역설하며, 사업단 중심의 연구비 집행보다는 개별 연구자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인프라 지원이 필요하며 병원에 연구를 통해 수익을 창조하라는 논리는 매우 부적합하다고 지적했다.

임상그룹 연구비의 부재도 문제로 지적했다. 현재 각 임상시험의 연구비 확보는 연구자의 재량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 AACR 같은 National Philanthropy가 없다보니 국가 연구비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라며 Stand Up to Cancer와 같은 cancer research fund의 활성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Data Scientist 부족도 문제로 꼽으며, TCGA data mining 논문의 경우 한국은 1%, 중국은 5%라는 현실을 꼬집었다. 이에 대학 차원에서 우수 연구인력 확보 및 양성이 어렵다며, 대학이 아닌 국가 차원의 교육 기관 확립의 필요성과 인건비의 현실화를 위한 인프라 연구비 책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암정복의 미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임석아 서울대 암연구소장은 중개 연구가 포함된 연구자 중심 임상시험을 위해 암센터가 중심 역할을 해 줄 것을 제안했다.

임 소장은 “최근 국가 연구비의 상당액수가 인공지능, 유전체 등에 몰리면서 데이터 사이언스, 통계에 밀리는 경향 보이고 있다”며 “최근 암정복 추진 계획단 연구비가 60% 감소하고 지원과제 30% 감소하고 있어서 중개연구가 포함된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의 대규모 데이터 쌓아놓고 진행 못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는데, 암센터가 이러한 연구의 중개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김성훈 연세대 언더우드 특임교수는 연구자로서 암센터에 바라는 점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암 정복을 이해서는 예방, 예측 시스템이 중요하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기초부터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의 연구로는 어려우므로 암센터 같은 헤드커터에서 국가 지원 인프라를 개발해 해주면 좋겠다”고 전했다.

토론회 전경
토론회 전경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