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말기신부전 환자의 사망률은 지난 20년 동안 지속적인 감소 추세이나 심혈관 질환 사망률은 여전히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는 말기신부전환자 등록사업에 등록된 149,947명의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20년 간 (2001년부터 2019년까지)의 사망률의 변화와 사망원인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밝혔다.

지난 3월 대한신장학회지에 발표한 말기신부전환자 등록사업 분석 결과, 투석 방법의 기술적인 발전으로 2001년부터 2018년까지 전체 투석 환자의 사망률은 1,000명/년 기준으로 122.5명에서 45.2명으로 현저하게 감소했다(혈액투석 환자의 사망률은 119.3명에서 45.1명으로, 복막투석 환자의 사망률은 121.6명에서 51.3명으로 감소).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2001년 5년 생존율은 혈액투석 69%, 복막투석 52.4%였으나 2013년에는 혈액투석 77%, 복막투석 71.5%로 향상되었다.

2019년 말기신부전 환자의 주요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질환은 심혈관 질환(47.0%) 이었고, 지난 20년간 지속적으로 국내 말기신부전 환자의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심혈관 질환 중에서는 부정맥, 심장판막질환, 심부전 등의 심질환이나 심정지에 의한 사망 비율이 심근경색, 협심증 등 허혈성 심질환의 비율 보다 높았다. 그다음으로는 감염 (22.9%), 암 (5.2%), 간질환 (2.3%) 순이었다.

연구 분석을 주도한 홍유아(가톨릭의대 대전성모병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서 투석환자의 생존율이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심혈관계 합병증은 해결해야 할 숙제라는 것을 확인했다”며 “투석치료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인 당뇨, 고혈압, 고지질혈증 등 뿐 아니라 투석 치료와 관련된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인 요독증, 혈관 석회와, 대사성산증을 동반하고 있어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일반인에 비해 높다”며서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적극적으로 조절하려는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최근 SCIE에 등재된 대한신장학회 공식 영문학술지 Kidney Research Clinical Practice에 발표됐다.

관련 논문 원본
관련 논문 원본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