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1일 WHO가 ‘건강노화 2020~2030 계획’을 공표하면서 국내 학회에서도 이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WHO의 계획에 발맞춰 통합적 건강관리에 대한 개념을 전파하고, 정책 마련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 대한노인병학회 원장원 이사장을 만나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국내 노인의학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전망해 보았다.

 

10년 간 세계가 함께 ‘건강노화’ 위해 노력

“WHO가 ‘건강노화 2020~2030 계획’을 공표하고, 전 세계적인 사업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노인의 기능 감퇴 예방과 향상을 통한 건강노화에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통합적 건강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지난 11월 대한노인병학회 제 66차 온라인 추계학술대회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건강노화 2020~2030 계획에 발맞춰 WHO의 메디컬 오피서인 한지아 박사의 강의와 활발한 토론이 진행됐다. 또한 원 이사장은 지난달 18일부터 양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된 WHO ‘건강 노화를 위한 컨소시엄’ 연례회의에도 한국대표로 참석하기도 했다.

원 이사장은 “WHO 계획에 따라 앞으로 10년 간 세계가 함께 건강노화를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며 “기존에는 질병 관리에 초점을 뒀다면, 지금은 삶의 질 중심의 ‘기능’ 유지와 향상이 핵심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사회적으로는 고령치환 환경 등의 지원을, 의료진은 건강 기능 문제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통합적 관리의 중심이 되야 한다”며, 이것이 곧 WHO가 추구하는 건강노화의 개념이라는 설명이다.

노인병학회도 이에 발맞추어 연구 및 활동을 펼쳐 나갈 것이며, 우선적으로 WHO에서 만든 건강노화 전략과 지침 및 핸드북의 한국어 번역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원 이사장은 노인의 기능감소 예방을 위한 보건복지부 과제 '한국 노인노쇠코호트 구축 및 중재연구 사업' 및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과제 ‘일차의료에서 노쇠의 통합관리 연구’를 진행 중이다.  

“WHO의 Anshu Banerjee 고령생애국장이 이러한 한국의 노인노쇠코호트 연구에 대해 ‘건강노화 향후 10년 사업(Decade for Healthy Ageing)’의 취지에 딱 맞게 노인의 다양한 건강요소들과 사회복지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라고 평가하면서 협력해 나가자는  친서를 보내왔다”며, 이에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WHO와 협력해 ‘건강노화 2020~2030 계획’에 근거 창출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했다.

 

노인의학 세부전문의, 노인의 문제를 전반적으로 포괄하는 ‘주치의’ 역할 필요

올해로 창립 52주년을 맞은 노인병학회는 내과, 가정의학과, 신경과, 정신과, 재활의학과 등 다양한 과의 전문의들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노인의학을 표방하는 유관 학회들은 많지만, 대한노인병학회는 대한의학회의 유일한 정회원  학술단체이다. 그만큼 연구, 학술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

2001년부터는 학회 자체적으로 ‘노인병 인정의’ 제도를 마련해 노인의학 전문가들을 배출하고 있으며, 이들은 요양병원이나 노인관련 기관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지금까지 학회를 통해 배출된 인정의는 5천여 명 정도”라며 “학회 차원의 인정의지만 연수강좌를 이수해야 하고 시험을 봐야 한다는 점에서 퀄리티를 높이고 자긍심을 갖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학회는 의과대학에서 노인의학 강의가 뿌리내리도록 하기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병원 환자 중 노인 환자가 4~50%를 차지하고 있는 현실임에도 아직까지 의과대학에서 제대로 된 노인의학 강의가 진행되고 있는 의대는 30%가 안 된다”며 “노인에 흔하고 특별한 노인증후군에 대한 학생 교육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원 이사장. 이를 위해 올해 1월 임기를 시작하면서  교육이사 직제(연세의대 노년내과 김창오 교수)를 신설해 의과대학 교육 기반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나아가 학회는 노인의학 세부전문의 제도 마련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노력 중이다. 이러한 필요성은 의료계에서도 이미 공감하고 있는지라 ‘노인의학 세부전문의 특별위원회’가 별도로 구성돼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원 이사장은 세부전문의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노인의학 전문의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먼저 확실히 설정하고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며 “ 노인의학 전문의는 노인 전반의 포괄적 이해를 동반한 주치의 역할이 중요하며, 노인재활의학, 노인정신의학, 노인비뇨의학과 같은 분과전문의의 발전도 같이 이루어졌으면 좋겠다”면서 “학회 학술대회에서도 세션을 마련해 이러한 방향에 대해 많은 논의를 진행하며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학술지 SCI 등재 추진…각종 정책 제안에도 적극 나서

“학술지의 PMC 등재에 이어 SCI 등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한노인병학회 발행 학술지 ‘AGMR’(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이 올해 8월 PMC(PubMed Central)에 등재되었다. 2년 안에는 SCI 등재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간행이사(분당서울대 임재영 교수) 등이 열정을 다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제화에도 더욱 가속도를 붙인다. 이 일환으로 한국-대만-일본 합동 국제 심포지움을 3국에서 번갈아가며 개최하고 있으며, 2년 전 개최한 아시아 노쇠근감소증 학술대회를 내년에도 국내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최근 세계보건기구 회의 참석 및 아시아 노인의학자 교육 프로그램인 Master Class on Aging’에 꾸준히 참여하면서 다양한 국제적 네트워크가 생겼다”며 “이러한 여세를 몰아 학회지를 비롯해 학회의 국제화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또한 학회는 한국 실정에 맞는 노인의료 정책을 개발하고, 노인의 포괄적 기능 평가나 노쇠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보험 수가 개발을 위해 노력해 나가고 있다. 정책이사에 조비룡(서울의대 가정의학과)와 김광일(분당서울대 노년내과)의 double posting을 한 것도 그 이유이다.

일례로 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커뮤니티케어 제도 마련에 참여하기 위해 요양 및 커뮤니티케어TFT를 신설하고  담당 위원장으로 노용균 교수(한림의대 가정의학과)을 선임했으며, 학술대회 세미나에 세션을 마련하는 등 활발히 나서고 있다. 또한 ‘아급성기 의료’ 기반 마련에도 노인의학 학술단체로서 관심을 갖고 정책에 참여해 나가는 한편, 노인 기능평가 등을 통한 노인의학 수가 개발을 위해서도 노력할 방침이다.

불과 6년 뒤 노인인구가 전체의 20%에 도달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을 앞두고 있는 현실에서 각종 노인의학의 정책과 국제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노인병학회의 노력을 응원한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