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민 대한골대사학회 대외협력이사
김상민 대한골대사학회 대외협력이사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골다공증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골절 예방을 위한 골다공증 치료율을 높이기 위한 논의의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골대사학회가 제32차 추계학술대회∙SSBG(Seoul Symposium on Bone Health)에서 '고령화 사회 골다공증 치료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대한골대사학회 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골다공증 유병률은 50세 이상에서 22.4%, 골감소증은 47.9%로 이미 많은 인구가 골다공증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가 온다면 노인 만성질환인 골다공증이 더욱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는 예상이다.

그러나 2018년 기준 5070 일반인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골밀도 검진을 받은 사람은 3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진 후 치료를 시작한 사람 역시 52%로 절반 정도였고 그중에서 치료를 지속하는 환자는 45%로 극소수였다.

이같은 문제는 왜 나타날까. 이러한 문제를 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김상민 대한골대사학회 대외협력이사는 ‘장기 지속 치료를 어렵게 하는 약제 급여 기준의 한계’를 꼽았다. “골밀도가 개선되면 치료에 대한 보험급여를 중단하는 것은 해외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우리나라만의 특수한 급여 기준”이라며 “여러 OECD 국가들에서는 이런 제한이 없다”는 것.

이 밖에도 골다공증 진단 확대의 필요성도 제시했다. 현재 국가 건강검진에서 54-66세 대상으로 국가검진을 시행하고 있으나 진단 후 꾸준한 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50%가 채 되지 않는다. 이에 “진단 횟수 늘려서 진단이 치료로 이어지게 하는 후속 지원 절차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골다공증에 대한 대중의 인식 부재도 문제로 꼽았다. 골다공증에 대한 인지율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다른 만성질환보다 2-3배 낮으며, 이에 국가 차원의 캠페인이 필요하다는 제안이다.

한편, 대한골대사학회 김하영 역학이사의 발표에 따르면, 55세에 골절이 발생한 경우 각종 연금 및 의료비로 인해 정부가 1인당 1.5억원의 재정 손해를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골다공증을 조기에 효율적으로 치료해, 골절의 경험을 최대한 늦추거나 막는 것이 정부 재정 수익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이화여대 약학대학 배그린 교수
이화여대 약학대학 배그린 교수

이밖에 이화여대 약학대학 배그린 교수에 따르면, 골다공증 및 모든 골절에서 여성의 질병부담이 남성보다 컸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질병부담도 증가했다. 골절 중에서는 척추골절의 질병부담이 고관절 골절의 질병부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배 교수는 “고관절 골절 및 척추골절은 중년에서 노년의 건강한 삶에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며 “보건정책은 고관절 골절 및 척추 골절의 발생률과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골가공증 정책 및 국민 인식개선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보건복지위원회 전봉민 국회의원실 윤위 보좌관은 “국민들이 골밀도를 쉽게 알게 되면 의료체계와 연결되어 예방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이에 보건소에 골밀도 측정기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학회에서 지적한 치료 약제 약제의 급여 제한에 대해서는 “정부가 추진하는 비급여의 급여화는 대부분 수가에 치우쳐 있고, 약제는 오히려 절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실제 지난해 약제에서 2500억 원의 절감효과 냈다는데 건강보험에서 수가와 약제의 균등한 분배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전국 보건소의 골밀도 측정기 설치부터 시작해 그에 맞춰 치료에 대한 약제 대책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와 계속 의논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진한 동아일보 의학전문 기자는 초고령화 사회에서의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확대를 위한 대국민 소통 방안에 대해 제안했다.

“많은 사람들이 골다공증 생각하면 치료보다 칼슘제 같은 것을 먼저 생각한다”며 ”골다공증에 대한 국민 인식이 약해서 그런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골다공증 치료율 떨어지는 것은 첫째, 치료 효과를 바로 보이지 않는 질환때문이고, 다음은 골밀도 수치 기준이 올라가면 급여제한으로 지속성 떨어지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에 ”급여 문제는 정책적으로 해결해야 하지만, 국민 인식 전환을 위해서는 언론 등 여러 창구를 통해 골다공증을 고혈압, 당뇨병처럼 평생 관리해야 하는 만성질환으로 알리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최경호 사무관은 “정부가 보장성 강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만성질환의 증가와 초고령 사회에 들어가는 상황에서 건보 재정 지속성을 함께 고려해 나가야 하는 것이 고민"이라고 전했다.

특히 “만성질환들은 초고령 사회 올라가면서 지출은 우려스러울 정도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라며 “골다공증의 경우 신약이 등재되면 급여를 확대(프롤리아)한 부분도 있고 새로운 약제(이베티니)도 조만간 보험 목록 등재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필요성은 공감 하지만, 한정적 자원의 분배 문제, 환자가 큰 재정 증가폭이 예상되므로 어려운 부분 있다”며 “정부 측에서도 고민을 많이 하고 있고, 이에 보험약제과 뿐 아니라 다른 과에서도 골다공증 관련 정책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토론회 전경
토론회 전경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