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사총파업 궐기대회에 전국 의대생 및 의사 2만8천 여명이 참여했다.

대한의사협회는 14일 오후 서울 여의대로를 비롯해 전국 4개 지역에서 '제1차 전국의사총파업' 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의협 측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번 궐기대회에 전국적으로 총 2만 8천 여명(서울 2만여명, 부산 2천, 광주전남 1천, 대국경북 3천6백, 대전 1천, 제주 4백)의 의대생 및 의사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여의대로에 모여 한 목소리로 정부가 일방적으로 강행하고 있는 4대악 의료정책인 ▲한방첩약 급여화 ▲의대정원 증원 ▲공공의대 신설 ▲원격의료 추진 중단을 촉구했다.

대한의사협회 최대집 회장은 대회사에서 “우리는 정부의 독주를 막기 위해 지난 8월 1일 의대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한방첩약 급여화. 비대면진료 육성 등 ‘의료 4대악 정책’의 즉각 철폐를 포함한 대정부 요구사항을 발표하고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며 “정부는 12일 당일만 해도 보건복지부는 오전에 보도자료를 통해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하자고 제안함으로써 마치 의료계의 요구사항을 받아들여 원점에서 재검토할 수도 있다는 입장인 것처럼 연출하더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김강립 차관은 ‘의대정원 확대 방침에 변화가 없다’고 거듭 못을 박았다”면서 “의료계에 모든 책임을 돌리려는 얄팍한 꼼수”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제 더 이상 '기득권'이라는 낡은 프레임에 갖혀 합리적이고 정당한 의료계의 주장이 좌초되어서는 안됩니다. 반복되는 패배에 길들여져서는 안된다”며 “이번 투쟁은 반드시 '이기는 투쟁'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가 잘못을 인정하고 태도의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면 우리는 더욱 강하고 견고해질 것이며 또한 우리의 투쟁은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철호 의협 대의원회 의장은 “정부가 잘못된 정책을 전면 철회하고, 우리들의 정당한 요구사항을 충분히 보장 받기 전까지는 절대 물러나서는 안 된다”며 “지금이라도 정부는 논의되지도 않은 졸속 정책임을 시인하고, 당장 중단하여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만약, 정부가 우리 의사들의 투쟁열기와 의지를 잘못 판단하여, 일방적으로 발표한 정책을 무리하게 강행한다면, 그 책임을 모두 져야 한다는 점을 강력히 경고한다”며 “지금 당장 정부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우선 과제는 지쳐가는 의사들의 사기를 꺾는 것이 아니고, 당장 눈앞에 다가오는 코로나 2차 대유행에 대비해, 의료일선에서 고생하는 의사들과 합심하여, 국민들의 존귀한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장 박지현 회장은 연대사에서 “교과서 사는데 십 원 한 푼 보태준 적 없는 정부가 이제는 의사들 보고 ‘공공재’ 라 부른다"며 ”의사를 맨홀 뚜껑 정도의 소모품과 동일 시 하는 정부의 태도를 보고, 우리는 그들이 의료계를 망쳐놓는 것은 이제 시작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힘을 합쳐 저들과 끝까지 싸우려 한다”며 “그러기 위해 저희 젊은의사들은 대한민국의 모든 의사들, 그리고 대한민국 의료를 걱정하는 모든 사람들과 함께 할 것을 결의한다”고 밝혔다

집회기 시작된 이후에도 발열체크 후 입장을 위해 여의도공원에 줄을 길게 늘어서 있는 모습.
집회기 시작된 이후에도 발열체크 후 입장을 위해 여의도공원에 줄을 길게 늘어서 있는 모습.

최대집 회장은 대회 막바지 결의발언을 통해 “오늘 우리 총파업 투쟁 계획이 알려지자 각 지자체에서 업무개시 명령을 내리겠다며 이를 어기면 업무정지 처분을 내리고, 형사고발을 하겠다고 협박을 자행했다”며 “만약 단 하나의 의료기관이라도 업무정지 처분을 당한다면 13만 회원들의 의사면허증을 모두 모아 청와대 앞에서 불태우고, 우리 모두의 업무를 스스로 정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 이후 우리가 수용할 수 있는 책임 있는 답변을 정부가 내놓지 않는다면 이번달 26, 27, 28 3일간에 걸쳐 제2차 전국의사 총파업을 단행한 후 무기한 파업으로 이어 나갈 것”이라며, "4대악 의료정책’이 철폐되는 날까지 어떠한 협박이나 회유에도 절대 굴하지 말고 전진하자"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12시 기준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 3만3836개 소 중 사전 휴진신고를 한 곳이 1만584개소(31.3%)이다. 응급실 등 필수 의료인력이 파업에 참여하지 않아 진료 대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