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힌신경과의사회 이은아 회장이 최근 연임에 성공하면서 수가 신설 등 추진 사업에 가속도가 붙게 됐다. 이은아 회장은 지난 10월 대한신경과의사회 출범 18년 만에 처음으로 경선으로 진행된 선거에서 압도적인 표 차(80.14% 득표)로 연임하게 됐다.

이 회장은 경선에 따른 첫 연임인 만큼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그동안 추진해온 수가신설과 진료영역 확대, 타과 협진 체계 마련 및 신경과 전공의 확대 등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각오다.  

치매 상담료, 척도검사 등 수가 개선에 박차

“회원들의 신뢰로 연임된 자리라 더 귀하게 생각하고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습니다. 특히 신경과 수가 신설과 새로운 진료영역 발굴을 비롯해 정부 정책에도 적극 참여하여 기존 추진해온 사업들이 결실을 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 회장은 지난 2년 임기 동안 신경과는 문재인 케어, 치매국가책임제, 뇌 MRI 급여화 등 가장 큰 변화를 겪었지만, 학회와 공조해 잘 대응해 왔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아직도 새로운 정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어서 신경과 의사들의 고유업무와 역할 유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는 생각에 연임에 도전하게 됐다고.

이에 새롭게 임기를 시작한 이 회장은 △신경과 수가 신설 △새로운 진료영역 발굴 △커뮤니티케어, 방문진료 등 새로운 의료정책 적극 참여 △급변하는 보험심사 신속 대응 △모바일 홈페이지, 유튜브 활성화 등을 추진할 것을 약속했다.

이 회장에 따르면 신경과는 치매, 파킨슨병, 뇌경색 등 대부분 말을 잘 못 알아듣거나 청력이 떨어져서 반복설명하거나 가족들과도 상담해야 하는 노동집약적인 분야다. 또, 상담뿐 아니라 신환에 대해 신경학적 검사 등 진찰 소요 시간도 길다. 그러나 정신의학과는 따로 상담료가 있는데 비해 신경과는 상담에 대한 수가가 없다. 이 회장은 “그동안 신경과의사들은 열정페이로 살아왔는데, 이대로는 한계가 있다”며, “실제 수가는 보존되지 않으면서 당직은 많고, 중환자를 많이 보다보니 젊은 의사들이 기피하고 있다”는 것. 특히 “고령화 시대에 신경계 질환은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신경과 의사들 수요는 더욱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수가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이 회장은 치매환자 및 가족 상담료 신설을 정부에 지속 요구하고 있으며, 이밖에도  파킨슨병이나 운동질환자, 경직 정도, 손 떨림 등을 진단하는 척도검사 급여화 과정에서 수가가 제대로 반영되도록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이와 함께 이 회장이 중요하게 꼽는 부분은 타과와의 협진이다. “타과에 방문한 환자들이 신경계 질환을 않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신경계 질환은 진단만 되고 치료가 안 되는 분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며 “의술의 발전으로 신경계 질환도 잘 관리하면 좋아질 수 있으므로 타과 의사들의 신경과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100세 시대에 당뇨, 고혈압이 노력하면 예방할 수 있는 질병인 것처럼 노화 현상 중 하나인 신경계 질환도 ‘관리하는 병’이라는 인식을 공유해서 협진체제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이에 이 회장은 전 임기 때부터 타과와의 협력을 추진해 왔으며, 연임으로 인해 이러한 사업에도 지속력이 생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경과만의 특화된 진료로 진료영역 확대

진료영역 확대도 현재 신경과의 주요 이슈 중 하나다. 실제 지난 10월 열린 신경과의사회 추계학술대회에서는 수면검사, 당뇨, 고혈압에서 신경과만의 특화나 차별화된 진료에 대한 강의가 마련돼 큰 관심을 끌었다.

“수면 중 무호흡은 부정맥, 혈압, 당뇨를 유발하고, 꼬리를 물어 뇌질환, 뇌경색, 치매 등 신경계 질환으로 이어진다”며 “신경과는 뇌신경계 질환과 연결하여 진료 및 치료하는 것이 타과와의 차별화 된 부분”이라고 소개했다.

또한 신경계 질환자들은 혈압, 당뇨를 대부분 동반하고 있다. 이에 단순하게 하나하나의 질환에만 접근하여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혈압, 당뇨로 인한 뇌경색, 뇌혈관 질환을 예측하는 차원에서 한 단계 깊게 진료하는 방식의 접근으로 진료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는 것.

신경과의사회는 진료 뿐 아니라 정책 참여에도 적극적인 행보를 펼쳐왔다. 치매국가책임제에 신경과 의사들의 참여와 역할을 주문해 왔으며, 어느 정도 이러한 목소리가 정책에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이 회장은 “치매국가책임제 정책 추진에 있어 초기보다는 신경과 의사들의 의견이 잘 반영되고 있지만, 아직 우리가 원하는 수준에는 못 미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치매안심센터의 경우 행정적인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보건소장들이 센터장을 맡고 있고 사업에 참여하는 의사들은 협력의사 신분에 불과하다는 것. 이에 “참여 의사들에게 부센터장 등의 직함을 부여하고 역할을 맡겨야 한다”며 “치매국가책임제에 주 진료과인 신경과 의사들이 더 많이 참여할 수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신경과 전공의 확대 필요…미래 크게 봐야’

“신경과 전공의 한 해 정원은 90명도 채 안 됩니다. 인구 고령화로 인한 신경계 질환 증가로 신경과 의사가 더 필요한 상황이라 적정 수준의 전공의 확대가 필요합니다.”

인구 고령화로 신경계 질환은 계속 늘어나고 있고, 전공의 근무시간도 예전보다 줄어든 상황에서 일부 대학병원 등에서는 환자를 제대로 케어할 수 없을 정도로 인력이 부족한 현실이다. 이 회장은 “응급실에서 원활하게 뇌졸중이나 뇌경색 환자를 볼 정도의 인력이 확보 돼야한다”며 “이에 신경과학회에서도 국가에 전공의 확대를 계속 건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부 개원의들은 전공의 확대에 반대하는 의견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당연한 우려이지만, 당장 우리세대로 끝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미래까지 크게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신경과에서 두통, 어지럼증, 수면장애, 치매, 뇌경색, 뇌전증 환자 등을 주로 진료하고 있지만, 통증 분야도 섬세하게 진료할 수 있는 과 인데도 미처 다 진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 이에 “그동안 보지 못했던 진료영역들을 제대로 확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뿐만 아니라 지금의 인원으로는 치매안심센터에 참여할 수 없는 상황도 생길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도 전공의 확대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령화 사회에서 퇴행성 질환 증가에 따른 신경과 의사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전문가로서 국가 정책에 적극 참여하는 신경과의사회의 행보를 응원한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