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신상원 고려대의대 교수, 이정권 과잉진단예방연구회장, 이재호 가톨릭의대 교수.
왼쪽부터 신상원 고려대의대 교수, 이정권 과잉진단예방연구회장, 이재호 가톨릭의대 교수.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폐암검진이 가짜 암환자를 양산한다며, 국가폐암검진을 중단하라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나왔다.

7월부터 5개 국가 암검진 사업에 폐암이 추가된다. 폐암 국가 암 검진은 54~74세 국민 중 30갑년 이상 흡연력(하루평균 1갑씩 30년 또는 2갑씩 15년 당배를 피운 사람)이 있는 폐암 발생 고위험군 31만 여 만명을 대상으로 한다.

3일 과잉진단예방연구회(회장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이정권)는 “폐암검진은 의료의 본질을 망각한 위험한 정책이므로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회장에 따르면 세계 어느 나라도 폐암 검진을 국가 암 검진으로 실시하고 있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갑작스럽게 국가폐암검진을 무리하게 추진하는 이유를 상세히 밝힐 것을 촉구했다.

특히 “정부는 국가 폐암 검진이 폐암 사망률을 20% 낮춘다고 홍보하고 있으나, 알고 보면 황당한 논리”라며 “흡연자가 폐암에 걸려 사망할 확률 5%에서 4%로 단지 1%의 감소에 불과한 것을, 상대적인 감소율로 계산하여 20%나 감소한다고 과장했다”고 강조했다.

이 같이 모든 암 검진의 중요한 위험은 검진 자체가 아니라 검진으로 인한 2차 피해에 있다는 주장이다. 가짜 폐암(양성결절)환자와 과다 진단된 암 환자는 검진을 하지 않았다면 받지 않아도 될 추가 검사와 수술/항암치료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폐암 검진은 특히 위양성(가짜암)진단율이 높아서, 암 아닌 많은 환자들까지도, 추가검사, 조직검사, 수술까지도 받아야하며, 이 과정에서 드물지만 사망까지도 각오해야 한다. “이러한 커다란 위험성을 도외시하고, 정부가 일방적으로 국민들에게 좋은 검사인양 홍보하는 것은 국민을 기만한 정책이며, 최소한의 기본적인 의료윤리에도 어긋나는 위험한 행위”라고 전했다.

고려대의대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국가폐암검진에 따른 학술적 임상적 검토’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폐암검진의 이득과 위해에 대한 논문 결과들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1000명이 검진했을 때 217명 중 1명은 폐암에 의한 사망을 예방하고, 4명 중 1명은 CT에서 위양성 결과가 나온다. 이에 30명중 1명은 불필요한 수술을 하며, 161명 중 1명은 수술로 인한 합병증을 겪는다는 것. 즉 폐암 검사의 효과는 99.5%는 이득이 없고, 23%는 위양성으로 인한 공포, 3.5%는 불필요한 수술로 인한 신체적 위해, 0.6%는 수술로 인한 심각한 위해를 겪으며, 단0.5%는 폐암 사망을 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에 신 교수는 “다른 암 검진과는 달리, 폐암 검진은 위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재검사가 필요하고, 수술까지도 필요한 경우가 많다는 것이 가장 큰 위험”이라며 “즉, 암이 없어도 수술까지 받게 되는 위험성을 감수해야 한다”고 전했다.

결론적으로 ▲2018년 현시점에서 어떤 나라도 국가 폐암 검진을 실시하고 있지 않다는 점 ▲미국에서 검진율은 대상환자의 2-3% 정도라는 점 ▲현 시점에서 한국 폐암 검진 시범사업의 폐암 진단율 0.56%는 효과적인 검진 방법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점 ▲현재 폐암 검진의 유용성에 대한 전 세계적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단계라는 점을 제시하며 국가폐암검진의 불합리성을 주장했다.

이재호 가톨릭대의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국가 폐암 검진 정책의 문제에 대한 발표에서 ▲국가 차원의 폐암 검진 확대 정책은 타당성에 대해 관련 학회들로부터 충분한 학술적 검토와 공식적 인준도 거치지 않은 일방적 정책이라는 점 ▲국가 정칙시행에 앞서 시행한 폐암 검진 시범사업은 불과 2년 동안 대조군 없이 진행한 것으로 학술적 근거로 불충분하다는 것 ▲동네의원에서 관리 받는 환자들이 폐암 검진을 위해 대형병원을 방문해 검사함으로써 국내 일차의료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이라는 점 등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한편 과잉진단연구회는 올해 초 창립했으며, 과잉진단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여 알리고 과잉진단의 이유를 규명하여 예방하고자 만든 학술단체이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