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클리닉 최형기 원장 ('헌집줄께 새집다오' 저자, 연세의대 비뇨기과 교수 역임)
성공클리닉 최형기 원장 ('헌집줄께 새집다오' 저자, 연세의대 비뇨기과 교수 역임)

자정이 넘은 시간, 20대 중반의 청년이 앰뷸런스에 실려 왔다.

“형이 정신착란을 일으켰나 봐요. 성기를 잘랐어요. 어쩌면 좋지요?”

잘려 나간 조각을 손에 움켜쥔 채 울상인 동생을 겨우 안정시키고, 실신한 채 누워 있는 청년의 아랫도리를 들추었다. 끔찍했다. 음경 부위를 자세히 살펴보니 뿌리만 남고 형체는 완전히 떨어져 나간 상태였다. 먼저 절단된 부위를 소독액으로 세척한 후 얼음물에 보관시키면서 수술을 시작했다. 음경의 남은 뿌리를 감싼 압박 붕대를 풀자 피가 쏟아져 나왔다.

 

놀란 가슴은 다시 뛰기 시작했다. 하지만 분초를 다투는 현장에 단 한 치의 여유도 부릴 틈이 없었다. 지압으로 흐르는 피를 막은 뒤 요도를 분리하여 카테터를 방광까지 주입하고 요도를 먼저 봉합했다. 미세 현미경을 통해 잘라나간 음경의 동맥과 정맥을 세밀히 연결하기 시작했다.

 

어느새 날이 밝아오고 있었다. 1980년 초 뒤늦게 신장 이식 수술을 배워보겠다고 유학길에 올랐을 때의 기억이 새삼 떠올랐다.

낯설기만 한 미국 땅,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 클리닉 실험실. 그곳에서 매일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미세 현미경을 이용한 이식 수술테크닉을 배우면서 기초 연구를 다져나갔다. 수술실은 조그만 쥐의 콩팥을 떼 낸 다음 다른 쥐의 콩팥을 이식해서 거부반응 정도를 일일이 파악해야 했기 때문에 팽팽한 긴장감이 항상 흘렀고, 1%의 착오도 허락지 않고 냉혹했다. 그렇게 밤낮없이 연습하고 공부하면서 익힌 기술을 100% 발휘할 기회가 마침내 찾아온 것이다. 직경 1㎜ 미만의 가느다란 동맥과 정맥을 제대로 연결해 주는 일, 그것이 수술의 성패를 가름하는 관건이었다.

 

동정맥을 잘 이어준 후 백막을 이어주는 것으로 수술이 끝났다. 얼마 후 지혈 붕대를 풀고 보니 음경 빛깔이 불그스레 제 색깔이 돌아오기 시작한다. 혈관을 따라 피가 온전히 흐르고 있었다. 1단계 수술은 성공적이어서 일단 안심했다.

 

환자를 정신적 충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신과 전문의의 조언이 필요했다. 정신병동으로 옮겼다는 소식을 듣고 그와 연락이 끊겼다. 퇴원한 그의 건강이 궁금해 집으로 몇 차례 전화를 해보았지만 통화를 하지 못했다.

 

그러던 어느 날 그가 병원에 나타났다. 5년 만에. 그것도 혼자가 아니라 처자식과 함께.

“아! 이 사람, K 군 아닌가?”

“네, 선생님 덕분에 이렇게 사람 구실하고 살아요.”

“뭐? 결혼해서 아들을 낳았다고?”

급한 마음에 그를 진료실에 끌고 들어와 어서 그곳부터 보자고 했다. 잠깐 주춤거리던 그는 안심하라는 듯이 한 번 씨익 웃더니 살며시 페니스를 보여주는데, 놀랍게도 몇 년 전 수술한 부위가 깨끗한 모습으로 잘 붙어 있는 게 아닌가. 게다가 그는 기능도 썩 좋다며 자랑했다. 이 정도라면 의사에게나 환자에게나 큰 사건이다. 주저하는 그를 방사성 동위원소실로 데리고 가서 시청각 자극으로 발기능력 테스트를 실시했다. 정말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피가 정상적으로 소통되고 있었고, 발기 기능도 좋았다.

“정말 기적적인 일이지요. 그것이 잘 서서 그런지, 매사에 의욕이 생기고 데이트할 자신감도 생기더라고요. 진작 보고 드렸어야 했는데, 연애하고 돈 좀 버느라고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리고 선생님을 다시 뵙는다는 것이 왠지 두려운 생각도 들었고요.”

 

충분히 이해가 간다. 의사를 만난다는 것은 어쩌면 묻어두고 싶은 아픈 과거를 다시 들춰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남들에게 드러내고 밝힐 순 없지만 본인으로서는 무척이나 행복했을 테고, 특히 사랑하는 아내 앞에서 떳떳할 수 있다는 사실이 못내 흐뭇했으리라.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