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관리 분과 배현주 위원장
항생제 관리 분과 배현주 위원장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2050년에는 세계적으로 연간 1천 만명이 사망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대한항균요법학회는 13일 열린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한 ‘2018 항생제 내성 예방주간 전문가 포럼’에서 항생제 내성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대한항균요법학회 김성민 회장은 “현재 항생제 내성으로 인한 사망수가 100만 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2025년에는 사망자가 1천 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행히 정부가 항생제 내성 대책을 수립해서 2020년에 항생제 사용량을 20% 줄이겠다는 높은 목표를 제시했다. 이에 중간에서 잘 달성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새로운 목표 세워야하는 시점”이라고 전했다.

실제 영국 국가항생제 내성 대책위원회(Review on Antimicrobial Resistance, AMR)의 보고서에 따르면, 항생제 내성 확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오는 2050년에는 연간 1,000만명에 이르는 감염병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며, 이는 2차세계대전 때의 년간 희생자 수와 맞먹는 숫자이다.

포럼에서 대한항균요법학회 항생제관리분과 배현주 위원장(한양대병원 감염내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하루 1,000명당 34.8명(OECD 평균 21.1명)이 항생제를 처방 받고 있다. 국내 총 항생제 처방량은 2002년 하루 1,000명당 15.9명 (DDD: defined daily dose)에서 2013년 24.2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이에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은 2020년까지 감기에 처방되는 항생제를 50%, 전체 항생제 사용을 2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배 위원장은 “항생제 오남용은 항생제 내성균 출현을 초래한다”며 “항생제 사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의사만 통제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다”고 전했다. 즉, 항생제 사용량 감소를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와 구체적인 ‘실천’이 필요하다며, 보건복지부 산하 ‘항생제 전담관리부서’를 제안했다.

내성균 관리 분과 엄중식 위원장
내성균 관리 분과 엄중식 위원장

내성균 관리 분과 엄중식 위원장(가천대 길병원)은 내성균 확산의 중요한 장기적 거점이 되는 중소병원이나 장기요양병원은 내성균 보균의 현황조차 파악하고 대처하기 어려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내 역학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미 내성균은 광범위하게 확산되었고 토착화 단계로 접어들었다”며 “일차의료기관, 중소병원 장기요양병원의 감염관리를 위한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즉, 다제내성균 감시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감시에 필요한 배양검사와 유전자 검사(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충분한 격리실의 운영을 위한 건강보험 급여가 현실화 되어야 한다는 것. 또한 다제내성균 보균 환자 정보를 의료기관이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다제내성균 보균 환자의 전원이나 이송과정에서 선별적인 격리와 지속적인 감염관리를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원헬스분과위원회 정석훈 위원장(연세대학교 진단검사의학교실, 세균내성연구소)은 범부처간 통합적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원헬스 분과 위원회 정석훈 위원장
원헬스 분과 위원회 정석훈 위원장

원헬스 항생제 내성균 사업은 항생제 내성 문제가 사람-동물-환경 전체의 문제라는 이해를 기반으로 항생제 사용량 조사와 사람-동물-환경 간 내성기전과 전파 규명을 위한 R&D 사업이다. 5개 부처(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가 참여하는 다부처 공동기획사업으로 과기정통부 국가과학심의위원회(다부처특위)로부터 예산심의를 통과했고 2019년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간다.

그는 “원헬스 항생제 내성균 사업은 예산, 운영체계, 조직, 인력을 포함하는 범부처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며 “그러나 현재 보건복지부만이 1개과(질병관리본부 약제내성과)를 배치하고 있고, 다른 부처에서는 연구직 1-2명만이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면서 대대적인 보강과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