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매학회 김승현 이사장
대한치매학회 김승현 이사장

치매 국가책임제 방향이 국가 전체의 일괄적인 추진 보다 지역특성에 맞는 정책으로, 또 미래를 내다보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치매학회 김승현 이사장(한양대병원)은 지난 3일 추계학술대회 중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치매국가책임제’라는 지칭부터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치매를 국가가 책임을 진다는 표현은 좋은 표현이 아닌 것 같다”며 “치매에 대해 관심을 갖고 배려하는 것은 좋지만, 국가만이 책임져서는 안 되고 가정과 가족, 지역 사회가 같이 고통분담을 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면서 “심지어 환자들 중에는 국가가 책임진다면서 왜 검사료를 내느냐고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앞으로 최고령 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가 훨씬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누구나 나이가 들면 언제든지 올 수 있는 노화 현상이라는 인식개선을 통해 극복하거나 전쟁하는 개념이 아닌, 치매를 이해하고 사회와 개인이 끌어안고 가야 하는 사회현상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

특히 김 이사장은 현재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시행하는 치매안심센터 사업 방식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에 한 센터마다 25명의 직원을 목표로 하면 총 5~6천 명의 직원이 필요한데, 이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는 것은 멋있게 보일지 모르지만 효율적이지는 못하다”며 “단계적으로 지역별 특성을 살려서 각 지역에 맞는 사업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즉, 소도시, 군단위로 갈수록 치매 현황과 병원 접근성 등이 모두 다르다는 것. 병원이 많은 대도시에서는 검진이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소도시로 갈수록 또, 독거노인, 저소득층, 우울증 환자, 장애가 있는 경우는 찾아가는 검진이 우선이다.

“정부 입장에서는 똑같은 잣대로 평가하는 것이 쉽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평가 잣대로 검진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며 “그러나 검진으로 얼마나 발견했냐는 잣대는 나중에 적용해도 늦지 않다. 우선은 지역에 동참해서 필요한 니즈가 뭔지를 찾아서 지역별로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마련해 주는 것이 우선”이라는 것. 

예를 들면 치매학회에서 진행하는 일상예찬 프로그램 같이 치매 환자와 보호자들을 교육하고 일상수행능력의 중요성을 알리며, 가족 및 지역사회기 치매환자들이 함께 문화생활 등을 하는 프로그램들이 좋은 예이다. “실제 이런 프로그램들을 진행하는 지역도 있는데, 평가 점수는 매우 낮게 책정된다”며 “그러나 사실 검사율 보다 이러한 일상의 프로그램들이 메인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학회에서는 직접 정책을 변화시킬 수는 없지만, 연구를 통해 이러한 필요성을 제기하기 위해 새롭게 학술 연구 지원상을 신설했다.

최호진 총무이사(한양대 구리병원)는 “회원들이 지역사회에서 치매안심센터를 운영하거나 참여해 연구하고 적용될 수 있는 결과물을 낼 수 있도록 학술상을 신설했다”며 “치매의 이론적 배경에서 나아가 실제 지역사회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연구를 독려하기 위해 학술상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