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의료 환경이나 규제 등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이 갈라파고스에 갇혔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인 가운데, 이를 타개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돼 주목된다.

‘2018 스마트 헬스케어 컨퍼런스’가 식약처 주관으로 22일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렸다.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 동향과 전망’ 패널 토의에서는 신현묵 케어랩스 대표의 사회 아래 최윤섭(디지털헬스케어연구소), 송승재(라이프시맨틱스) 김현정(차의과대병원 피부과), 윤구현(간사랑동우회), 강성지(WELT) 대표가 참석해 의료계와 산업계의 다양한 논의를 펼쳤다.

우선 ‘한국 스마트헬스케어의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대해 각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다.

강성지 WELT 대표는 “우리나라는 의료 환경에서는 스마트 헬스케어에 대한 베네핏이 적고, 정부 주도의 사업이 많다보니 시범사업 반복하고 있는 것 같다”며, “다른 나라는 열악한 의료 환경에도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므로, 우리도 빠르게 역수입하는 모델도 생각해야 한다”고 전했다.

최윤섭 디지털헬스케어연구소장 역시 한국에서 스마트 헬스케어 사업을 하기에는 척박한 환경이라고 운을 뗐다. “규제를 비롯해, 작은 시장, 높은 의료 접근성, 특수한 한국의 의료보험 체계 등 종합하면 디지털 헬스케어 희망은 사실 답이 없다"며 머리를 맞대고 희망을 찾아야한다는 것.

김현정 차의과대병원 피부과 전문의는 “디지털 헬스케어에 있어 이익도 중요하지만 공공영역 외에는 투자 여유가 없는 것 같다. 정공법으로 가면 아직 먼 길”이라며 “중증환자에서는 아직 먼 얘기지만 그래도 웰니스 쪽에서는 긍정적 부분이 있는 것 같다”고 제시했다.

송송재 라이프시맨틱스 대표는 “실제 현재 우리나라는 좋은 상황은 아니지만 좋은 기회들도 생기고 있으므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이 언젠가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국가보험체계에도 불구하고 식약처가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에 관심을 갖고 있고 심평원에서도 수가화에 노력하기에 1, 2년 안에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과연 한국에는 스마트 헬스케어 사업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강성지 대포에 의하면, 헬스케어는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현재 수준은 ‘홍삼’이나 조금 더 나아가 ‘안마의자’ 수준이라는 혹독한 평가다. “학문적 에비던스기 탄탄하지 않아도 건강을 해소시켜 주는 느낌 주는 정도”라며 “그래도 스마트 헬스케어가 미래를 바꿀 것이라는 확신은 있다. 그러기 위해선 전략을 세울 기획자가 많이 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병이 생기기 전에 막아주는 예측 모델의 정교함이 헬스케어의 가치라며, 행동의 변화를 통해 미래 건강까지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스마트 헬스케어가 갈길이라고 제시했다.

최윤섭 소장은 “헬스케어 산업은 일반적 사업과 달리 건강 책임지는 것이 목적이라 이를 잘 고려해야 한다”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서 환자를 더 잘 치료하고 의료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에비던스가 더 필요한데, 믿음이 있어야 에비던스가 나오므로 다양성에 대한 믿음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내놨다.

특히 김현정 전문의는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세분화’와 ‘니즈’라고 제시했다. 헬스케어 분야에는 의사, 환자부터 간호사, 요양보호사, 약계, 산업계 등 다양한 종사자가 있으므로 세분화 하여 니즈를 보는 게 중요하다는 것. 그는 “산업계에서 갖고 온 제안서들을 보면 환자 니즈를 리서치 하지 않고 거창한 연구만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며 “여러 팀들 중 개인적으로 간호사의 니즈를 파악해 주사기 바늘을 자르는 아이디어를 갖고 온 팀의 경우 매우 좋은 케이스라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각 분야 니즈를 분석하고 기획한다면 희망은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송승재 대표는 “우리의 이런 목소리들이 산업 바꿀 것이라는 믿음 갖고 가야하고 우리가 그런 역할 하는 사람들이라는 믿음도 중요하다”고 마무리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