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업 교수
김승업 교수

WHO가 2-30년까지 C형 간염 박멸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대한간학회도 이에 동참하기 위해 C형 간염 검사의 국가 검진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한간학회 및 대한간재단은 ‘제19회 간의 날’을 맞아 2030년 만성 C형 간염 박멸을 위해 대국민 C형 간염 항체검사 국가검진 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승업 교수(연세의대)의 ‘만성 C형 간염 박멸 2030’ 주제 발표에 따르면 만성 C형 간염은 오랜 기간에 걸쳐서 무증상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고 아직 인식이 부족해 많은 환자들이 정확한 진단 및 치료 기회를 놓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대한간학회가 한국건강관리협회의 도움을 받아 20세 이상 남녀 건강검진 수검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바에 따르면, 간암 및 간경변증 주요 발생 원인으로 C형 간염이라고 답한 비율은 27%에 그쳤다.

또한 바이러스 간염의 전염경로에 대한 인식도 부족도 여전했다. 바이러스 간염은 주로 수혈 및 주사기 재사용 등 혈액을 통해 감염되거나 모체로부터 수직 감염되는 경우가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음식 및 식기 공유를 주요 전파 경로로 인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응답자의 39%가 C형 간염 바이러스 전염경로를 ‘잘 모르겠다’고 답했으며, 응답자 절반 이상은 C형 간염 예방접종이 없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또 치료를 받으면 완치가 된다는 사실도 44%만이 인지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응답자 약 80%는 C형 간염 항체검사의 국가건강검진에 포함돼 있지 않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 사실을 알려준 후 국가검진 도입이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에는 82%가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김승업 교수는 “최근 완치율이 100%에 육박하고 부작용이 거의 없는 항바이러스 약물이 나옴에 따라 WHO에서는 2030년까지 만성 C형 간염을 전세계적으로 박멸할 계획을 발표했다”며 “우리나라도 이에 동참하기 위해 무증상 환자를 발굴하고 선별 검사를 확대하여 감염의 전파와 발생을 막기 위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2030년까지 만성 C형 간염 박멸 계획에 발맞출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에 대한간학회는 그동안 40대 이상 연령대에서 기존 국가검진 체계와 연계한 C형 간염 검진 시 가장 비용효과적인 것으로(예: 만 56세 대상 국가검진 시 20-30억 규모 예산 필요) 검진을 통해 무증상 환자를 발견하고 치료해 감염 전파의 예방관리가 가능하다고 매년 제안해 온 바 있다.

“정부도 C형 간염 백신은 없지만 효과적 치료제가 있으므로 조기 검진의 필요성을 공감은 하지만, 국가 검진 기준에 맞지 않아 질병본부에서 별도로 300억 규모의 조기 발견 사업을 계획 중이라고 밝혀 C형 간염 검진에 대해 회의적인 상태”라는 것.

한편, 우리나라 국가검진 기준은 1968년 WHO 원칙을 참조해 2011년 확정된 바 있으며 이때 유병율 5%라는 건강 문제 평가 기준이 만들어 진 바 있다.

김승업 교수는 “국가검진 원칙 유병율 5% 기준은 기존 건강검진 여러 항목들(B형간염 등)에도 이미 적용되지 않는다”며 “2016년 발표된 제2차 국가건강검진 종합계획에 따르면 근거 중심 국가검진을 위해 기존 건강검진 항목을 정기적으로 재평가 해 시행하는데 기존 항목들도 유병률 기준에 매몰되지 않고 검진 대상에 포함되어 왔다”는 것.

특히 “미국에서 최근 발표된 연구결과에서도 유병률이 0.07%보다 높은 경우 출생 코호트 검진보다 전 인구 대상 평생 1회 C형 간염 검진이 더 비용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 같은 자료들이 만성 C형 간염의 선별검사 항목을 국가 검진에 포함돼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싣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