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로 의사사회도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하지만 의사의 은퇴 이후에 대한 삶이나 현황은 파악조차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은퇴의사들에 대한 노후대책이나 의료지원 사업의 체계적인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의 계간 의료정책포럼 최근호에서 가톨릭의대 예방의학과 맹광호 명예교수는 ‘의사시니어클럽’ 운영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인층 인구증가 속도는 세계적으로도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2000년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7%를 넘음으로써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이후 빠르게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어 예상보다 빠른 2017년 말 이미 노인인구 비율이 14%에 도달해서 ‘고령사회’가 되었다. 특히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가 되는 기간이 일본의 경우 24년 걸린데 비해 우리나라는 단 17년 밖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된 것.

이는 의사사회도 마찬가지다.

보건복지부의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에 따르면, 2016년 기준 60대 이상의 활동의사는 9,565명으로 9.9%를 차지하고 있고, 20대 의사는 8.795명(9.1%)에 그치고 있다. 2012년부터 최근 5년간 의사면허자 수를 봐도 20대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60대 이상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의사사회가 초고령사회 진입에 이르렀다는 것이 세간의 평가다.

이러한 상황에서 맹 교수는 “의사와 같은 전문직 은퇴자들의 노후 문제까지 정부가 나서 지원하거나 도움을 줄 형편이 아닌 것도 사실”이라며 “날로 증가하는 은퇴의사들의 노후문제에 대해서는 의사단체가 스스로 적극적인 대체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의사사회의 특징부터 알아볼 필요가 있다. 우선 의사사회는 다른 직종보다 생산성이 높다. 2008년 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65세 의사 1만 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연구에 의하면 응답자의 85%에 이르는 의사들이 아직도 현역에서 진료활동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하나 특징은 이들 의사 중 62.5%가 은퇴후에도 자원봉사나 재취업을 원하고 있으며, 38%는 무보수, 또는 보수의 적고 많음과 상관없다고 응답한 점이다. “이런 조사 결과는 은퇴의사들의 노후에 대한 적절한 지원과 관리 시스템 구축이 국가 사회적 차원에서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일”이라고.

그렇다면 먼저 고령화를 경험한 선진국의 경우 은퇴의사들의 위한 어떤 시스템이 마련돼 있을까. 우선 미국의 경우 미국의사협회 안에 ‘시니어의사부서’를 두고 65세 미국의사인 경우 현직에 있건 은퇴를 했건 자동으로 회원이 되어 복지와 후생, 봉사와 여가 활동을 주선하고 있다.

영국의협에도 ‘은퇴의사 포럼’이 설립돼 은퇴의사들의 문제에 대한 여러 발표와 토론이 이뤄지고 있으며, 고령비율이 가장 높은 일본은 지역사회에서 ‘의사은행’ 같은 제도를 운영해 의사를 구하는 의료기관과 은퇴의사들을 연결해주는 일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2011년 3월 대한의사협회 산하에 ‘의사시니어클럽’을 발족했다. 클럽은 일자리 알선, 진료봉사, 교육 등을 알선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활동을 하고 있지만, 재정문제로 사업수행을 위한 기반 조성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맹 교수는 “클럽 운영을 위한 재정적 어려움이 가장 큰 이유이기는 하지만, 이 문제를 포함한 클럽 활동 활성화에 대한 의사들의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료계 일부에서 거론되고 있는 의사 노후연금 문제에 대해서도 이제는 중지를 모을 필요가 있다”며, 이와 함께 “의사협회가 최소한의 인력과 재정지원을 통해 사업기반을 조성하고 정부 및 여러 공익단체들과 함께 해외 원조 사업이나 국내 소외계층을 위한 보건의료 지원 사업에도 적극 참여함으로써 의사시니어 클럽 활동을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