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뇌졸중 환자들을 감당하려면 신경과 전공의 정원을 최소 110명으로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신경과학회(이사장 정진상)은 4일 기자간담회에서 새 임원진들의 사업 방향 등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신경과학회 신임 임원진
신경과학회 신임 임원진

 

고령화로 노인신경질환 급증, 수요 따라갈 수 없어  

정진상 이사장은 우선 학회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 신경과 전공의 정원 부족 문제를 들었다. “복지부는 단순히 인풋-아웃풋 수치로 계산해 신경과 전공의 정원을 늘리지 않고 있다”며 “이대로 가다가는 신경과 의사는 계속 줄어드는 패턴으로 가게 되어 고령화 사회를 앞두고 수요를 따라갈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역별 급성 뇌졸중 집중 치료실을 비롯해 고령화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치매환자 등의 수요를 감당하려면 단순히 인풋-아웃풋의 수치로 계산해서는 안 된다는 것.

4년간 수련이사를 맡았던 김재문 부이사장은 “과거에 비해 현재 신경과 영역이 넓어지고 급성기 뇌졸중을 진료하는 병원도 대폭 늘었다”며 “지역별 급성기 뇌졸중을 다루는 인력을 심평원 통계로 추산했을 때 1년에 60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그만큼 모두 늘리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지난해에는 82명을 뽑았지만, 학회서 추산해 본 결과 적어도 110명 정도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례로 재작년 울산에 배정할 전공의가 없었는데, 이후 통계를 보니 울산에서 뇌졸중 사망률이 높게 나왔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이렇듯 전공의 TO가 없는 것도 문제지만, 전공의특별법 시행으로 주 80시간 근무로 인해 전공의 당직 스케줄을 짜기가 어려운 것도 문제로 지적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60세 가까운 노교수들이 당직을 서게 되고, 일부는 힘이 들어 개원을 하거나 요양병원으로 취직하는 일도 적지 않다고. 

정 이사장은 “이같은 현상으로 전공의 수련시스템 자체가 붕괴되고 있다”며 “전공의 수가 적절히 확보돼야 이러한 문제도 해결된다”며, 또한 “100세 시대에 노인 신경질환이 많아지고 있는데, 이를 감당할 인력 안정을 위해서도 시급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신경과의사회와 합심해 사업 펼칠 것

한편, 학회는 각 위원회별 추진 사업을 소개했다.

우선, 교육학술총괄위원회(김재문 위원장)에서 이러한 전공의 정원확대를 위한 사업을 펼칠 예정이다. 또한 의대생에게 신경과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기 위해 의과대학 학생들을 위한 캠프를 만들어 금년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개원의를 위한 경영아카데미도 신설한다. 정 이사장은 “신경과 전문의의 6분의 1만 개원하고 있어서 그동안 노하우를 전수할 만한 인프라가 없었다”며 “이젠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개원의들이 있으니 앞으로 개원할 때 신경과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코자 한다”고 전했다. 

대한신경과학회 정진상 이사장
대한신경과학회 정진상 이사장

보험총괄위원회(구자성 위원장)에서는 신경계 질환의 중증도 제고, 문재인 케어의 대책 수립 등을 진행할 방침이다. 또 정책기획총괄위원회(배희준 위원장)는 신경과 관련 정책의 평가, 개발. 실현 업무 등 대외정책을 담당할 예정이다. 회원권익증진위원회(신설, 이은아 위원장)에서는 이은아(대한신경과의사회장) 개원의 특임을 필두로 신경과개원의경영아카데미를 운영할 계획이다. JCN 간행위원회(이경민 위원장)에서는 최근 5년간 임팩트 팩터가 2.630인 학회지를 앞으로 3.5점이 넘는 것으로 목표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학회는 7월 22일 세계 ‘뇌의 날’을 맞아 ‘Clean Air For A Healthy Brain’을 주제로 다양한 대국민 홍보 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정 이사장은 “새 임원진은 ‘백세시대 뇌 지킴이 신경과’이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그동안 학회 중심, 아카데미즘 중심에서 나아가 신경과의사회와 같이 합심해서 국민이 혜택 받을 수 있는 사업을 펼치는 학회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