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심장 질환의 복합체인 심부전은 완치가 어려울 뿐더러 1년 사망률이 20%, 5년 사망률이 50%에 이르는 위험한 질환이다. 특히 70대 이상의 고령에서는 10%를 넘어서는 유병률을 보이는 만큼 고령화 사회의 치명적 질환으로 손꼽힌다.

하지만 심부전에 대한 부족한 정보와 낮은 인지도 등은 환자 스스로 심부전에 대해 자각하기 어렵게 만드는 걸림돌이 되고 있는 터. 이 같은 현실을 타개하고 심부전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데 앞장서온 단체가 있다. 심부전연구회가 바로 그것.

최근 또 다른 변화를 꾀하고 있는 심부전연구회 전은석 회장을 만나 심부전에 대해, 그리고 학회의 비전에 대해 직접 들어보았다.

심부전연구회 전은석 회장
심부전연구회 전은석 회장

어려운 심부전, 연구회 아닌 학회서 다학제적 접근할 것 

전은석 회장은 "심근경색이나 협심증과 같은 질환이 아니라, 이러한 질환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일종의 모든 심장 질환 증상의 증후군이 심부전"이라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숨이 차거나 몸이 붓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이것이 심부전 때문이라는 것을 전혀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어떤 심장 질환을 가졌던 간에, 증상이 발현되면 재입원율이나 사망률 등의 예후가 매우 나쁘고 완치가 어려운 질환인만큼,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이 치료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전 회장은 강조했다. 

이에 심부전연구회는 10여 년간의 활동을 뒤로하고, 내년부터 독립적인 학회를 발족해 심부전의 위험성과 인식 개선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전 회장은 "심부전연구회는 말 그대로 심장학회 산하의 심부전에 대한 학문을 연구하는 단체로, 치료를 위한 최신지견을 공유하거나 환자등록 사업 등이 주된 내용이었다"며, "이런 연구회의 형태로 심부전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국민들의 부담을 줄이는 등의 활동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라고 심부전학회 발족의 의의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심부전은 각종 심장질환과 연계되어 있는 만큼 다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하지만, 전문의를 제외한 의료진도 심부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다. 실제로 심부전 환자들은 약물 치료 외에도 영양조절이나 재활, 교육 및 모니터링 등 광범위한 영역의 케어가 필요하지만, 이를 관장하는 영양사나 재활의학과,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 등의 경우에도 심부전에 대한 인식이 다소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고.

전 회장은 "심부전은 원인 질환 자체가 다양하기 때문에 환자들에게 어떤 증상들이 나타나는지에 대해 의료진들도 정확하게 모르는 경우가 빈번하다"며 "연구회에서는 재활의학이나 간호사, 영양사 등 다학제적인 진료에 대한 논의가 어려웠지만, 학회에서는 다학제적인 영역까지 포함해서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학회 발족의 궁극적인 목적은 '환자'

전은석 회장은 새롭게 발족하는 심부전학회의 가장 큰 가치는 환자에 있다고 강조했다.
전은석 회장은 새롭게 발족하는 심부전학회의 가장 큰 가치는 환자에 있다고 강조했다.

올해로 임기가 만료되는 전은석 회장은 심부전학회를 이끌어 갈 차기 집행부에 "학회로서의 가장 큰 가치는 환자를 적절하게 치료하고 케어하는 것에 있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그는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라 심부전 환자들의 유병률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증가하는 환자들을 돌보고 사망률 및 입원율을 줄이는 것이 학회의 임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적절한 수가체계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전 회장은 "심부전의 사망률과 입원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환자 교육과 모니터링이 필요하지만 사실상 이를 진행하기는 쉽지 않다"며 "환자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간호사를 고용하더라도 이에 대한 수가체계가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일례로 영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환자들에 대한 교육 및 모니터링은 전문 간호사들이 진행하고 있다고.

그는 "급격하게 늘어나는 환자들을 적절하게 케어하지 못한다면 국가 재정 부담은 더욱 커지게 될 것"이라며 "정부에서도 심부전의 위험성과 심각성을 인지한다면 적극적으로 환자를 케어할 수 있는 수가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