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약 육성·발전에 투입되는 예산을 늘려야한다는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의 지적에 대해 양방의료계가 한의학에 투입되는 예산을 오히려 없애야한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대한한의사협회가 이에 대해 반박했다.

먼저 대한한의사협회는 한의계에 투입된 연구개발 비용 자체가 양방의료계 주장과 달리 현격히 적고 비율로 따져도 보건복지부 전체 R&D의 극히 미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보건복지부의 R&D 예산은 총 2조7753억원이며 이 중 한의약 R&D예산은 1045억원에 불과(3.8%)하다. 특히 최근 5년(2010년부터 2014년까지)을 살펴보면 보건복지부의 R&D 예산 총액인 1조5741억원 중 한의약 관련 R&D 예산은 484억원으로 3.1%를 차지하는데 그쳤다.(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5년수치는 한의학정책연구원 회귀분석 자료 인용)

이에 대해 대한한의사협회는 “양방의료계야말로 지난 기간 동안 한의약에 비해 전폭적인 R&D자금을 지원받고 대체 무엇을 했는지 밝혀내야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대한한의사협회는 한국과 달리 중의와 양의를 비교적 고르게 육성하는 중국의 성과를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경우 1950년대부터 중의약(한국의 한의약에 해당) 육성을 서의(한국의 양의에 해당)와 균등하게 지원해 왔다. 이로 인해 지난 2015년 중의과학원 소속 투유유 여사가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을 뿐 아니라 중의약 산업을 통해 매년 4조원의 외화를 벌어들이고 있다.

중국은 중의약을 전담하는 국가조직인 국가위생화계획생육위원회(구 위생부, 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에 해당) 산하 국가중의약관리국의 1년 예산이 1조 3634억원(201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 산하 한의약정책관실 예산(220억원, 2014년 기준)의 60배가 넘는다. 특히 국가중의약관리국 소속이며 투유유 여사가 소속된 국책연구기관으로 유명한 중국중의학과학원의 경우 산하 약 6000여명의 전문인력이 산하 6개 병원과 8개의 연구기관, 20개의 처와 43개의 학회에서 중의약 육성발전에 매진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의 한의학연구원에는 산하 병원이 없어 임상연구가 이루어지기 힘든 실정이다.

대한한의사협회는 “양방중심의 기형적 육성 및 연구개발 지원 대신, 한의와 양의의 균형잡힌 의료제도와 육성정책이 이루어졌다면 현재 중국 이상의 성과를 내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하고 “이번 기회에 양방 중심으로 투입되어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했던 연구개발비용의 10%라도 한의약 발전에 투입된다면 향후 대한민국 의료의 발전과 의료산업을 통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훨씬 큰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