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치매관리센터가 국가 치매관리 시스템 기반 마련에 나선다. 
최근 복지부로부터 ‘중앙치매관리센터’ 운영기관으로 선정된 분당서울대병원은 향후 5년간 치매관련 연구사업의 통합 관리와 치매 예방·진단 및 연구, 신기술 개발, 전문교육 등을 수행하게 된다. 김기웅 중앙치매센터장은 한국인에 맞는 진료지침과 인프라 구축을 통해 치매 사회 안전망의 완성도를 제시하겠다는 포부다.  

치매관리 전달체계 마련으로 지역 불균형 해소
“치매에 대한 사회·의료적 관심이 높아지고 각 분야의 활동이 많아지면서 통합, 가이드 조직이 필요하게 됐습니다. 이 일환으로 설치된 중앙치매센터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치매관리 계획과 사업을 추진해 치매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중앙치매센터는 올해 2월 치매관리법이 시행된 데 따라 전국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공모를 거쳐 선정됐다. 이에 ‘U-Health센터’를 설치하고 올 7월부터 2017년 6월까지 5년간 중앙치매센터 역할을 수행하게 됐다.
중앙치매센터 선정에 대해 김 센터장은 “분당서울대병원이 처음 개원시 노인전문 대학병원으로 개원했고, 정보의학의 선두주자인 점, 개원 이래 국가적으로 공공의료사업을 지속적으로 해 온 점이 높게 평가됐다”며 “세계적으로도 치매관리의 통합을 추진하는 추세이므로 각계 전문가와 팀원 이뤄서 우리 실정에 맞는 통합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중앙치매센터는 앞으로 5년 동안 치매 케어부분을 지역사회에서 제대로 공급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을 큰 축으로, 가족 대상 교육 홍보와 케어서비스에 대한 연구 개발과 치료법 개발을 위한 리서치, 국내외 리소스 네트워킹 등을 핵심사업으로 단계별로 사업을 추진한다.
이러한 작업의 컨트럴타워 역할을 할 ‘U-Health센터’가 판교 입구에 위치한 70평 공간에 설치될 예정이다. 센터에는 전략사업팀, 인프라 구축팀, 교육훈련팀, 등록 정보팀의 4개 팀과 업무지원 부서가 설치된다. 이 센터 내에는 의료정보 센터도 같이 있어 가장 먼저 구축할 치매등록-데이타 베이스 작업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중앙치매센터 지정으로 일단 치매관리 전달체계의 골격이 마련된 셈이다. 치매관리 전달체계는 의료전달체계와 비슷하게 1차는 전국 치매상담센터에서, 그 상위에 16개 지자체 권역 치매상담센터(가칭)가 지정될 예정이고, 그 다음 중앙치매센터로 이어지는 시스템이다.
중앙센터에서는 관리 서비스 개발, R&D 등을 수행하고 이를 권역지역센터로 전파하고 교육하면, 권역센터는 치매상담센터나 거점병원을 교육하게 되는 것.
김 센터장은 “지역 치매 서비스의 불균형은 서비치매상담센터의 불균형에서부터 생긴다”며 “치매상담센터의 운영규격 표준화가 최소한의 불균형을 해소할 것”이라고 말한다. 

치매, 왜곡된 인식 바꿔야
“치매는 드라마에서 흔히 보여 지는 것처럼 극단적인 병이 아닙니다. 초기 치매환자는 독립적 생활이 가능하고 소통도 가능합니다. 치매라는 사회적인 함의를 생활과 가깝게 튜닝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김 센터장은 치매는 서서히 발병해서 서서히 진행하는 병으로, 관리를 하면 비참한 상태까지 가지 않으므로 두려움을 갖지 말고 적극 치료할 것을 당부한다. 또 진단을 받으면 주위에서 다 해주려고 하는데, 다치면 재활을 해야 하듯 치매환자도 생활을 유지하게 해 주면 천천히 진행되므로 균형적인 가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한편, 김 센터장은 “고령화가 빠르다지만 정부에서 생각하는 치매 심각성 체감 온도는 낮다”며 “앞으로 첫 5년 동안 직접적 서비스를 내실화하고 다음 5년에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한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