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우리나라 치매환자 수는 약 53만명으로, 42만명이던 2008년에 비해 26.8%나 증가했다.  이 가운데 오는 2025년에는 100만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같은 추세로 본다면 2025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1000만명에 육박할 것이라는 관측이 가능해진다. 즉 노인 10명 중 한 명(10%)은 치매환자로 분류될 수 있다는 것.

특히, 지난 2010년 한해동안 치매로 인한 연간 총진료비는 8100억원, 1인당 진료비는 연간 310만원으로 5대 만성질환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해 '국가 총치매비용'(사회경제적비용)은 연간 8조7000억원으로 10년마다 두 배씩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따라 치매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2020년에는 19조원, 2030년이 되면 거의 40조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러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암이나 심장질환, 뇌졸증을 모두 합친 것보다 치매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자체가 훨씬 많이 드는 것으로 파악돼 그 만큼 정부 측 대응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지난 27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 확대, 재가서비스 확대 등이 포함된 이 같은 내용의 '제2차 국가 치매관리 종합계획(2013∼2015년)'을 확정·발표했다.

보건복지부 최희주 저출산고령사회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치매관리종합계획은 치매환자 급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 치매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 및 노년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위해 마련하게 됐다" 라고 설명했다.

'제2차 국가 치매관리종합계획'은 ▲조기발견 및 예방강화 ▲치매 중증도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치료·보호 강화 ▲효과적 치료·관리를 위한 인프라 확충 ▲가족지원 및 사회적 소통 확대를 핵심 추진과제로 설정됐다.

최희주 실장은 "복지부는 이번 대책으로 치매 조기발견 및 치료가 증가돼 요양시설 입소시기 지연, 입소율 저하 등으로 치매환자 및 가족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노인의료비 및 요양비용 절감으로 사회·경제적 부담도 완화되기를 기대한다" 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치매환자에 대한 장기요양보험 혜택 확대로 치매환자 가족의 간병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기를 기대한다"며, "특히, 향후 치매환자가 사회와 단절되지 않게 우리 사회가 치매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전문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홍보해 나갈 예정" 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